본문
최신뉴스
-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0.6%↓···"여름철 수급 안정 총력"
최대환 앵커>지난달 농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달보다 0.6% 하락하면서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습니다.정부는 여름철 재해에 대비한 수급 안정 대책 시행에 들어가는데요.정부 비축 물량을 적기에 활용하고, 할인 지원도 확대할 계획입니다.최유경 기자입니다.최유경 기자>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농축산물 가격은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습니다.통계청이 발...
-
"철강 국가안보 핵심"···정부, 미 철강 관세 50% 총력 대응
최대환 앵커>미국이 한국산 철강 등에 품목 관세 50%를 부과하며 우리 기업들의 피해가 우려되는데요.이런 가운데 철강 산업 출범 52주년 기념식이 열렸습니다.정부는 적극적인 수출 지원과 중장기 경쟁력 강화로, 어려운 시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입니다.신국진 기자의 보도입니다.신국진 기자>(포항제철 종합 준공식 / 대한뉴스 제1926호)1973년 6월 9일.포스코...
-
통일부 "대북전단 살포 유감···중지 강력 요청"
모지안 앵커>국내 한 납북단체가 최근 대북전단을 살포한 것과 관련해, 통일부가 유감을 표하고 전단 살포 중단을 강력히 요청했습니다.새 정부 들어서 대북전단 문제와 관련해 나온 첫 입장입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북한을 향한 전단 살포를 놓고 남남갈등이 커지면서, 통일부는 지난해 12월 관련 단체들에게 신중한 판단을 요청했습니다.하지만 한 납북자 가...
-
'부동산 공급' 집중···정비 규제 완화 추진
모지안 앵커>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도심 재개발 활성화와 유휴 부지 활용을 통한 주택공급 확대를 약속했는데요.새 정부의 신속한 주택 공급과 도심 정비사업 추진 의지가, 위축된 건설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이리나 기자가 보도합니다.이리나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주택 공급 확대로 집값을 안정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
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0.37개···IMF 이후 최저
모지안 앵커>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구인배수'가 지난달 기준 0.37개로 집계됐습니다.IMF 외환위기의 영향을 받은 지난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건데요.고용노동부의 최근 고용시장 동향을, 김경호 기자가 보도합니다.김경호 기자>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년 전보다 18만7천 명 늘었습니다.고용보...
-
2024 성희롱 실태조사···직장 내 성희롱 감소세
최대환 앵커>정부는 3년 주기로 직장 내 성희롱 실태조사를 하고 있는데요.2024년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를 정부서울청사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윤현석 기자, 이번 조사에서 눈여겨볼 결과가 있습니까?윤현석 기자>(장소: 정부서울청사)네, 이번 조사의 주요 결과는 성희롱 피해 경험률입니다.조사 결과 직장 내 성희롱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
-
공정위, 중흥그룹 부당지원 제재···과징금 180억 부과
최대환 앵커>중흥그룹이 총수 2세의 회사에 10년에 걸쳐 3조 원이 넘는 무상 보증을 제공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부당 지원으로 판단하고, 과징금과 함께 고발 조치했습니다.조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조태영 기자>2007년, 중흥토건을 인수한 중흥그룹 2세 정원주 부회장.중흥그룹은 이 회사를 중심으로 경영권 승계 작업을 시작했습니다.하지만 ...
-
퇴직연금 적립금 400조 돌파···'투자' 비중 증가
최대환 앵커>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이 400조 원을 처음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평균 수익률은 4%대 후반이었고, 펀드 등에 투자하는 실적 배당형의 비중이 늘었는데요.퇴직연금을 일시금이 아닌 연금 형태로 받는 사람도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습니다.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이 431조 7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2019년 221조 ...
-
음료 섭취 5년새 20%↑···10대는 '당 과잉'
모지안 앵커>더워지는 날씨에 갈증을 달래기 위해 음료수 찾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정부가 우리 국민의 음료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가 공개됐습니다.청소년과 20~30대가 당이 많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는 비중이 높은 걸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정유림 기자입니다.정유림 기자>2023년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음료 섭취량은 274.6그램.5년 전에 비해 2...
-
'일감몰아주기·떼어주기' 증여세 신고 30일까지
모지안 앵커>일감 몰아주기와 떼어주기에 대한 증여세 신고 대상자들은, 오는 30일까지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신고 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20%의 가산세를 물어야 하는데요.자세한 내용, 신경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신경은 기자>'일감 몰아주기, 떼어주기 증여세 신고 대상자'는 오는 30일까지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일감몰아주기 증여세 과세 대상'은 특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