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다음 주 10조 원 추경안 발표···국회 협조 당부"
김경호 앵커>미국의 상호관세 대응과 산불 피해 복구 등 시급한 현안이 쌓여있습니다.정부는 위기 대응을 위해 다음주 초 10조 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기로 했습니다.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경제관계장관간담회(장소: 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최상목 경제부총리가 경제관계장관 간담회를 열고, 다음 주 초 10조 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최...
-
정부 "일본, 독도 영유권 주장···즉각 철회 촉구"
김경호 앵커>외교부는 일본 정부가 외교청서를 통해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한 것에 대해 강력 항의하고,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습니다.정부는 오늘(8일)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이어 앞으로도 정부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도발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임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행정안전부 브리핑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행정안전부 브리핑고기동 /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대미협의에 총력"
김용민 앵커>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김현지 앵커>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등 주요 인사들을 만나 우리에 대한 관세율 낮추기에 총력을 다할 방침입니다.조태영 기자입니다.조태영 기자>미 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요국들의 맞대응 조치가 이어졌습니다.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34% 맞불 관세를 부과하...
-
"관세대응 등 10조 원 규모 필수 추경안 다음 주 발표"
김용민 앵커>최상목 경제부총리는 경제관계장관 간담회를 열고, 미 관세 조치 대응 등을 위한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안을 다음 주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최 부총리는 전례 없는 관세 충격으로 우리 산업과 기업은 심각한 피해가 눈앞에 다가온 상황이라며 꼼꼼한 대응을 위해 추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또한, 산불 피해 지역의 신속한 피해복구와 어려움에 처한...
-
통상환경 불확실성 확대···시장상황 모니터링 강화
김용민 앵커>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를 주재한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조치 발표 후 변동성이 크게 높아졌다고 평가했습니다.특히, 국내 주식시장 하락폭이 확대됐고,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채권 자금시장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정부는 f4회의를 중심으로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각 국 정책 대응 상황을 분석해...
-
연금개혁 후속작업 착수···"구조개혁 이어져야"
김용민 앵커>정부가 연금개혁 시행을 위한 후속작업에 본격 착수했습니다.김현지 앵커>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은 "이번 연금개혁은 미완의 개혁"이라며 "앞으로 구조개혁을 포함한 개혁이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보도에 정유림 기자입니다.정유림 기자>연금개혁 시행 추진단 제1차 회의(장소: 7일 오후,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연금개혁 ...
-
KTX·SRT 통신 서비스 품질평가 강화···정밀점검 실시
김용민 앵커>정부가 올해부터 KTX와 SRT 등 고속철도의 통신 서비스 품질 점검을 강화합니다.김현지 앵커>철도 내 통신 품질이 미흡한 구간을 중심으로 정밀 점검해, 통신사 개선을 유도하겠다는 건데요.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통신사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돕는 '통신 서비스 품질평가'.5G, LTE, 유선 인터넷의 서비스...
-
농촌 빈집 재생, 방안은?
김용민 앵커>정부가 농촌 지역의 빈집 문제 해결에 나섰습니다.빈집이 밀집된 지역을 중심으로, 민간과 지자체가 협력해 빈집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재생을 추진하는 '농촌빈집재생지원사업'을 시작한 건데요.김현지 앵커>해당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재생지원팀 김소형 과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출연: 김소형 / 농림축산...
-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대미협의에 총력"
최대환 앵커>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이틀간 미국을 방문합니다.미 무역대표부 대표 등 주요 인사들을 만나, 관세율 낮추기에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입니다.조태영 기자입니다.조태영 기자>미 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요국들의 맞대응 조치가 이어졌습니다.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34% 맞불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