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태풍 '장미' 북상···제주·전남 남해 '태풍특보'
최대환 앵커>
집중호우가 이어지는 가운데, 태풍 '장미'까지 북상하면서 오늘(10일)도 전국에 비가 내릴 전망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문기혁 기자, 소식 전해주시죠
문기혁 기자 / 정부서울청사>
네, 오전 8시 30분을 기준으로 5호 태풍 '장미'가 서귀포 남남동쪽 약 210km 해상에서 시속 37km 속도로 북상하...
-
집중호우 속 태풍 '장미' 북상···"철저한 대비 당부"
임소형 앵커>
열흘 가까이 전국 곳곳에 폭우가 쏟아지면서 피해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제5호 태풍 장미까지 북상하면서 제주와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추가 피해가 우려됩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유례없는 긴 장마로 폭우가 이어지면서 피해마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1일부터 집중호우로 인한 사망자는 30명, 실종자는...
-
신규 확진 36명···수해 지역 감염병 발생 위험
임소형 앵커>
코로나19 국내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30명대를 기록하면서 종교시설을 중심으로 지역 감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잇따른 폭우로 수인성 감염병 발생 우려도 커져 방역 당국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수복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수복 기자>
오늘(9일) 오전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36명입니다.
국내 발생이 30명...
-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브리핑 (20. 08. 08. 14시)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브리핑 (20. 08. 08. 14시)
권준욱 /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장소: 질병관리본부 브리핑룸)
-
특별재난지역 중소·소상공인 지원 확대
유용화 앵커>
앞서 보신대로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7개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는데요.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들 지역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특례보증비율'을 높이고, '보증료'도 우대하기로 했습니다.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특별재난지역으...
-
충청·남부 집중호우···"주말에도 많은 비"
유용화 앵커>
입추인 오늘도 장맛비는 멈추지 않았습니다.
충청과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폭우가 내렸습니다.
신경은 앵커>
주말에도 많은 비가 예보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장소: 전북 익산시 춘포면)
도로에 세워둔 트럭이 순식간에 하천이 불어나면서 물에 둥둥 떠 있습니다.
구조대가 출동해 황급히...
-
장마가 감염병을 일으킨다고?···이렇게 예방하세요!
유용화 앵커>
코로나19에 장마까지 겹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신경은 앵커>
특히 집중 호우에 따른 수해로 '감염병'이 확산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장마로 인해 하천이 범람하고 침수가 발생한 경우 위생환경이 취약해집니다.
이때 병원균과 모기, 쥐 등 감염 매개체에 의한 전염병 발생이 잦아...
-
신규 확진 20명···주말 종교·수련활동 자제 당부
유용화 앵커>
이번에는 국내 코로나19 상황, 알아봅니다.
국내 발생 확진자 수가 다시 한 자릿수로 감소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주말을 맞아 종교 활동이나 수련회나 캠프 활동을 자제해 줄 것을 거듭 당부했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오늘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20명입니다.
이 중 국내 발생은 9명, 해...
-
'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 시제품 출고
유용화 앵커>
한국형 전투기에 탑재될 핵심 장비죠.
에이사 레이더의 첫 시제품이 출고됐습니다.
국내 개발이 불가능 할 것이란 우려를 딛고, 개발에 착수한 지 4년 만에 국산 기술로 성과를 거뒀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국내 기술로 개발된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 AESA 레이더.
한국형 전투기 KF-X의 '눈'으로 불리는 핵...
-
장마가 감염병을 일으킨다고?···이렇게 예방하세요!
김용민 앵커>
코로나19에 장마까지 길어지면서 감염병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은 수인성, 식품 매개 감염병 발생이 잦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장마로 인해 하천이 범람하고 침수가 발생한 경우 위생환경이 취약해집니다.
이때 병원균과 모기, 쥐 등 감염 매개체에 의한 전염병 발생이 잦아지는데,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