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동탄 화재 '부주의가 원인' 겨울청 화제 예방 [집중분석]
네. 서울스튜디오입니다.
겨울철은 특히 화재가 많은 시기인데요,
말씀하신 지난 주말 동탄의 화재는 부주의가 낳은 예고된 인재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화재의 원인을 바탕으로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한 필요한 노력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박재성 교수 나오셨습니다.
안녕하세요.
-
2017 국가안전대진단…첨단 로봇 총 동원
앵커>
정부가 전국의 다중이용시설 등 안전이 취약한 곳에 대해 대대적인 점검에 들어갔습니다.
올해부터는, 특히 첨단 장비가 총동원되는데요.
최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리포트>
네 명의 목숨을 앗아간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시설 철거 공사 중 불이 났고, 제때 화재경보기가 울리지 않아 인명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최근 잇따라 화재...
-
스마트폰 사고 재발방지…'제조공정'부터 기준 강화
앵커>
정부가 지난해 대량 리콜 사태를 불러온, 스마트폰 발화사고의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제품 공정에서부터 출시 이후까지, '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삼성 갤럭시 노트7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의 원인의 조사결과 발표했습니다.
화재 원인은 배터리 불량이었던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특히 배터...
-
스마트폰 사고 재발방지…'제조공정'부터 기준 강화
앵커>
정부가 지난해 갤럭시노트 7의 대량 리콜사태를 불러온, 스마트폰 발화사고의 원인과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스마트폰 배터리에 한시적으로 안전인증을 도입하는 등, 제품 공정부터 출시 이후까지, 안전관리가 강화됩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삼성 갤럭시 노트7에서 발생한 화재사고의 원인의 조사결과 발표했습니다.
화재 원인...
-
'국가안전대진단'…안전 취약시설 집중 점검
앵커멘트>
사회 전 분야에 대해 안전점검을 벌이는 국가안전대진단이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올해는 특히 건설현장이나 전통시장 등 안전관리가 취약한 시설을 집중 점검합니다.
서일영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경기도 화성의 종합쇼핑몰에서 발생한 화재는 건물 3층의 어린이 시설 260여 제곱미터를 태운 후 꺼졌습니다.
공사관계자 등 4명이 숨지고 40여...
-
'국가안전대진단'…안전 취약시설 집중 점검
앵커멘트>
사회 전 분야에 대해 안전점검을 벌이는 국가안전대진단이 내일부터 시작됩니다.
올해는 특히 건설현장이나 전통시장 등 안전관리가 취약한 시설을 집중 점검합니다.
서일영 기자입니다.
경기도 화성의 종합쇼핑몰에서 발생한 화재는 건물 3층의 어린이 시설 260여 제곱미터를 태운 후 꺼졌습니다.
공사관계자 등 4명이 숨지고 40여 명이 다치는 ...
-
평년기온 회복…중부지역 미세먼지 '나쁨'
오늘은 전국이 맑은 가운데 대부분 지역에서 낮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전망입니다.
기상청은 강원 영서 지역에는 오전에 한파특보가 발효돼 춥겠지만, 낮부터 차차 기온이 평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미세먼지 농도는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다소 높을 것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은 예측했습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찰청 기획단 출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찰청 기획단 출범
-
소비자물가 4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매주 물가점검"
앵커>
AI로 인한 달걀 대란 여파로,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4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정부는 일시적인 기저효과로 판단하고, 매주 회의를 열어 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입니다.
김용민 기자의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 올라 4년 3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조류 인플루엔자로 인해...
-
소비자물가 4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매주 물가점검"
앵커>
AI로 인한 달걀 대란 여파로,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4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정부는 일시적인 기저효과로 판단하고, 매주 회의를 열어 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입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 올라 4년 3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조류 인플루엔자로 인해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