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남북정상회담·유엔총회'···한반도 운명의 9월
◇ 김현아 앵커>
한반도 정세가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인데요.
다가오는 9월 한 달이 중요한 갈림길이 될 전망입니다.
채효진 기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방북 무산에 대해 처음 입을 열었죠?
◆ 채효진 기자>
네, 폼페이오 장관은 대변인을 통한 메시지에서, 딜레이, 그러니까 방북 연기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북한과의 대화 ...
-
유엔사, 남북 철도 공동점검 '불허'
임소형 앵커>
유엔군사령부가 남북 철도 공동조사 계획을 허락하지 않으면서 일단 무산됐습니다.
남북은 지난 22일부터 27일까지 서울에서 출발한 남측 열차를 신의주까지 운행하며 북측 철도를 공동조사할 계획이었지만, 유엔사가 48시간 전에 통보하지 않았다는 이례적인 이유로 불허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미국, 북측과 공동조사 일정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
'남북정상회담·유엔총회'···한반도 운명의 9월
신경은 앵커>
이번에는 한반도 주요 현안들 짚어보겠습니다.
안갯속에 빠진 북미, 남북관계.
9월 한 달이 중요한 갈림길이 될 전망인데요.
서울 스튜디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채효진 기자!
먼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방북 무산에 대해 처음 언급했죠?
채효진 기자>
네, 대변인을 통해 메시지를 밝혔는데요.
딜레이, 그러니까 방북 연...
-
73년 만의 만남, 이산가족상봉 준비의 시간
73년 만의 만남, 이산가족상봉 준비의 시간
-
'판문점 선언 이행'···남북협력기금 3년 만에 1조 원대
유용화 앵커>
정부가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해 내년도 통일부 남북협력기금 규모를 1조 천 4억 원으로, 올해보다 14.3% 더 편성했습니다.
남북 협력 기금 1조원 대는 지난 2016년 이후 3년 만입니다.
특히 북한 철도, 도로 현대화 등 남북 경협 사업에 5천 44억 원, 이산가족 교류에 336억 원으로 올해보다 대폭 늘렸습니다.
한편 남북연락사...
-
'판문점 선언 이행'···남북협력기금 3년 만에 1조 원대
김용민 앵커>
정부가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해 내년도 통일부 남북협력기금 규모를 1조 1천 4억 원으로, 올해보다 14.3% 더 편성했습니다.
남북협력기금 1조원 대는 지난 2016년 이후 3년 만입니다.
특히 북한 철도, 도로 현대화 등 남북경협사업에 5천44억 원, 이산가족 교류에 336억 원으로 올해보다 대폭 늘렸습니다.
한편 남북연락사무소 운...
-
'판문점 선언 이행'···남북협력기금 3년 만에 1조 원대
임소형 앵커>
정부가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해 내년도 통일부 남북협력기금 규모를 1조 천 4억 원으로, 올해보다 14.3% 더 편성했습니다.
남북협력기금 1조원 대는 지난 2016년 이후 3년 만입니다.
특히 북한 철도, 도로 현대화 등 남북경협사업에 5천44억 원 이산가족 교류에 336억 원으로 올해보다 대폭 늘렸습니다.
한편 남북연락사무소 운영에...
-
'9월 남북 정상회담 예정대로' 문 대통령 중재외교 과제는?
임보라앵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이 무산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의 모멘텀을 살려나가면서 동시에 연내 종전선언을 성사시켜야 하는 두 가지 과제 앞에 놓인 건데요,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전문가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남북 이산가족 상봉 훈풍···북미협상 돌파구 마련방안은? [라이브 이슈]
김용민 앵커>
금강산에서 열렸던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모두 끝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다시 만날 날만 기다리며 사는 이산가족이 5만 명 넘게 남아 있는데요.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는 소식은! 남북이 올해 안에 추가 상봉을 개최하기로 뜻을 모았다는 건데~ 향후 추가 협상 결과가 주목됩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북한 방...
-
제21차 이산가족 상봉 주요 이슈와 남은 과제는?
임보라 앵커>
지난 20일부터 금강산에서 열렸던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어제 마무리됐습니다.
65년 만에 혈육과 만난 남북의 가족들은 2박 3일 간의 만남 끝에 다시 기약 없는 이별에 들어갔는데요,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전문가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김열수 /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