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북한 선수단 46명 확정…아이스하키 단일팀 12명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규모와 방식이 확정됐습니다.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주재로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남북 대표단 회의에서 선수와 임원 등 참가 인원은 46명으로 확정됐고, 이 가운데 선수 12명이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에 합류합니다.
IOC는 또, 남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과 폐회식에서 'KOREA'라는 영문 이름으로 한반도기를 들고 함께 행...
-
靑 "북한 참가, 평창 올림픽 성공에 기여할 것"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입장문을 내고, 북한의 올림픽 참가는 평창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윤 수석은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을 놓고 우리 선수들의 출전 기회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는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문재인 정부는 우리 선수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히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
북 현송원 방남 취소관련 정부, 취소 사유 요청
북 현송원 방남 취소관련 정부, 취소 사유 요청
-
남북·IOC, 20일 '평창 회의'…세부사항 결정
남북 대표단이, 남북한 올림픽 참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스위스 로잔에 도착했습니다.
내일 열릴 IOC 평창회의에서, 북한의 선수단 규모와 참가 종목 등 세부사항이 최종 결정됩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남북 대표단과 IOC가 내일 남북한 올림픽 참가회의를 열고 북한의 동계올림픽 출전 관련 세부 사항을 논의합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통일부, 北 현송월 등 사전점검단 방남 동의
정부는 현송월 북한 삼지연 관현악단 단장 등 예술단 파견 사전 점검단의 방남을 동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 오후 2시 45분쯤 사전점검단 방남에 1차적으로 동의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현재로는 출·입경에 필요한 부속 행정사항을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외교·통일 "'평창' 계기 한반도 평화 구축 총력"
새해 정부 업무보고, 오늘은 외교·안보 분야였는데요,
외교부와 통일부는, 평창동계올림픽을 평화 올림픽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먼저 정유림 기자입니다.
외교부와 통일부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 참가가 확정된 만큼, 평화올림픽 추진 구상이 차질없이 실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입니다.
통일부는 정부합동지원단 중심으로, 외교부는 고위...
-
'평창 회의' 앞둔 남북 대표단, 주요의제와 전망은? [라이브 이슈]
계속되던 한반도의 긴장상황이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완화되고 있습니다.
17일 열린 남북 차관급 실무회담에서 11년 만에 개막식 공동입장과 올림픽 사상 첫 단일팀 구성 등을 합의하기도 했죠.
네,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 남북이 힘을 합하고 있는데요, 평창동계올림픽 관련 최종협의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 라이브이슈에서...
-
남북·IOC, 20일 '평창 회의'…세부사항 결정
남북 대표단이 남북한 올림픽 참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스위스 로잔에 도착했습니다.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내일 남북 대표단과 함께 북한 선수단 규모와 참가 종목 등 세부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할 계획입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남북 대표단과 IOC가 내일 남북한 올림픽 참가회의를 열고 북한의 동계올림픽 출전 관련 세부 사항을 논의합니다.
도종환...
-
외교·통일 "'평창' 계기 한반도 평화 구축 총력"
새해 정부업무보고, 오늘은 외교안보분야 업무보고가 있었는데요.
먼저 외교부와 통일부는 업무보고에서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는데요.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최우선적 과제로 꼽았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외교부와 통일부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 참가가 확정된 만큼, 평화올림픽 추진 구상이 차질없이 실현될 수 있도록 만전...
-
"남북 문화교류 재개…아시안게임 공동입장도 추진"
문화체육관광부는 새해 업무보고에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문화교류를 단계적으로 재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관계 해빙 분위기를 타고 올해 열리는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 등 국제종합경기대회 공동입장과 합동응원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업무보고 내용, 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부 기간 남북 문화교류는 경색된 관계 탓에 대부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