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남·북·중, 대북 에너지설비 지원 협의
한편 남북한과 중국은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대북 에너지설비 지원에 대한 3자
회의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임성남 우리측 6자회담 차석대표와 북한, 중국측 대표들이 참여해
북한에 우선적으로 지원하기로 한 에너지 설비와 자재 제공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한.미.중.러 4개국은 2.13, 10.3합의와 부속합의에 따라 북한의 신고와 불능화
이행의...
-
힐, 北 정확한 신고시 美 상응조치
북핵 문제가 핵프로그램 신고문제로 주춤거리고 있는데요, 북한 김계관 외부성
부상을 만나고 방한한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는 현 상황과 관련해 "어려움은
있지만 현상황이 난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돌파구 마련에 강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이충현 기자>
"북한은 현 상황타개를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
-
힐, 北 정확한 신고시 美 상응조치
미 국무부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가 교착상태에 빠진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았습니다.
힐 차관보는 북한이 정확한 핵프로그램을 신고하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하겠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충현 기자>
Q1> 힐 차관보가 방한했는데 어떤 이야기가 나왔나요?
A1> 네, 힐 차관보는 북한의...
-
북·미, 베이징서 전격 양자회동
북핵 6자회담 북한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오늘 중국 베이징에서 만났습니다.
김 부상과 힐 차관보는 오늘 오전 베이징 시내 주중 북한대사관에서 양자회동을
갖고 북한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와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을 본격 논의했습니다.
북핵 6자회담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 신고 마감시한인 지...
-
북·미, 베이징서 전격 양자회동
북핵 6자회담 북한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오늘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와 양자회동을 위해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김 부상 일행은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힐 차관보와 만나 교착국면에 빠진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와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힐 차관보는 "중요한 것은 북한의 완전하고 정확한 핵...
-
북·미, 베이징서 전격 양자회동
북핵 6자회담 북한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무부 차관보가 오늘 중국 베이징에서 만났습니다.
김 부상과 힐 차관보는 오늘 오전 베이징 시내 주중 북한대사관에서 양자회동을
갖고 북한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와 6자회담 재개 방안 등을 본격 논의했습니다.
북핵 6자회담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 신고 마감시한인 지난...
-
힐 ‘美, 불완전 북핵 신고 수용 안해’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북한 핵프로그램 신고문제와 관련해
"완전하지 않은 북한 핵프로그램 신고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힐 차관보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16일 가진 미
외교협회와의 인터뷰에서 "문제는 북한이 완전하고 정확한 신고를 꺼리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힐...
-
美, 불완전 북핵 신고 수용안해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북한 핵프로그램 신고문제와 관련해서
"완전하지 않은 북한 핵프로그램 신고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힐 차관보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16일에 가진
미 외교협회와의 인터뷰에서 "문제는 북한이 완전하고 정확한 신고를 꺼리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
-
한중 수교 15주년, 한중관계를 말한다 - 최춘흠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오는 8월 개막하는 베이징 올림픽에 남북이 공동응원단 600명을 파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에 구성될 남북 공동응원단은 경의선을 타고 남측을 출발, 개성과 평양을
거쳐 베이징으로 직행하기로 했는데요, 올 여름 베이징에서 남북이 함께 새로운 기적을
만들어낼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베이징 올림픽이 열리는 올해는 중국에게 매우 중요한 해이기도 합니...
-
‘2.13 합의 1년’ 북핵 폐기, 어디까지 왔나?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 시설 폐쇄와 핵 프로그램 신고 및 핵 시설 불능화를 명시한
2.13합의가 나온지 꼭 오늘로 1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북한의 핵 문제는 얼마나 진전이 있었는지 현재 남은 과제는 무엇인지,
오늘 이 시간에 심층적으로 논의해 보겠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