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불량식품 신고센터 통합…식품안전 강화
오늘부터 식품과 의약품 안전을 위한 정부의 정책이 한층 강화됐습니다.
불량식품 신고센터가 통합운영되고, 술을 만드는 제조자들도 식품안전 의무를 지켜야 하는데요, 하반기에 달라지는 식품과 의약품 관련 정책, 이연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하반기 달라지는 식.의약품 정책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부정·불량식품'에 대한 신고창구 일원화입니다....
-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 검출 안돼"
<!--{13704815030490}-->
미국에서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 수입밀에 대해 정부가 1차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다행스럽게도 문제의 밀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30일 식용재배 승인이 나지 않은 유전자재조합 밀이 미국 오리건주에서 발견되면서 밀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에서도 우려...
-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 검출 안돼"
<!--StartFragment-->
미국에서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 수입밀에 대해 정부가 1차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다행스럽게도 문제의 밀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30일 식용재배 승인이 나지 않은 유전자재조합 밀이 미국 오리건주에서 발견되면서 밀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에서도 우려감이 ...
-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 검출 안돼"
<!--{13705614379530}-->
미국에서 미승인 유전자재조합 밀이 발견된 것과 관련해 수입밀에 대해 정부가 1차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다행스럽게도 문제의 밀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30일 식용재배 승인이 나지 않은 유전자재조합 밀이 미국 오리건주에서 발견되면서 밀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에서도 우려...
-
영화관 판매식품 자율영양표시제 실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가 대형 영화관에서 파는 팝콘, 나초 등의 열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자율영양표시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율영양표시에 참여하는 영화관은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CGV의 200여개 매장입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영화관에서 파는 식품은 메뉴에서 열량을 확인할 수 있고, 포스터를 통해 당류, 포화지방, 나트륨 등 자세한 영양...
-
'부작용 우려 제품 판매' 한국얀센 형사고발
<!--StartFragment-->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원료 약품이 과도하게 들어갔을 가능성을 알고도 타이레놀 시럽을 판매한 한국얀센을 형사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식약처는 또 한국얀센 제품 해열진통제 '어린이 타이레놀 현탁액'과 비듬치료제 '니조랄액' 등 5개 품목의 생산을 최대 5개월간 정지시킬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식약처는 일부 타이레...
-
한국얀센 5개 의약품 '제조정지'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을 알고도 어린이용 해열제 `타이레놀 시럽`을 판매했던 한국얀센에 강력한 제재조치가 내려졌습니다.
형사고발과 함께 5개 품목에 대해 최대 5개월간 제조정지 처분을 내렸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타이레놀 어린이현탄액을 판매한 한국얀센을 고발하기로 했습니다.
식약처 조사 결과 원료인 아세트...
-
도로·하천변 봄나물 '주의'…중금속 수치 높아
요즘 도로나 하천주변에 봄나물이 많이 나는데요, 하지만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조사를 해봤더니 납과 카드뮴 같은 중금속이 기준치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김용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도심 속 도로 변이나 하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쑥과 냉이.
쉽게 채취할 수 있어 봄철 식탁에 자주 올려지지만 공단 주변이나 도심에서 자라는 봄나물에서 기준치를 넘는 중금속...
-
불량식품근절, 식품안전 강국 구현
박근혜 대통령이 4대악 중 하나로 '불량식품'을 지목하고 강력한 근절 의지를 밝힌 가운데 범정부 차원에서 불량식품 뿌리뽑기가 본격 추진됩니다.
지난 8일 불량식품근절 범정부 중장기 5개년 계획이 발표되었는데요.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식약처 불량식품 근절추진단 T/F 윤형주 총괄팀장 나오셨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
도로·하천변 봄나물 '주의'…중금속 수치 높아
요즘 도로나 하천주변에 봄나물이 많이 나는데요, 하지만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조사를 해봤더니 납과 카드뮴 같은 중금속이 기준치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김용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도심 속 도로 변이나 하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쑥과 냉이.
쉽게 채취할 수 있어 봄철 식탁에 자주 올려지지만 공단 주변이나 도심에서 자라는 봄나물에서 기준치를 넘는 중금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