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학교급식용 김치 HACCP 인증 받아야"
학교 급식에서 단골메뉴가 바로 김치인데요, 하지만 김치로 인한 식중독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즉 해썹 인증이 없는 김치는 학교 급식에 사용할 수 없게됩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달 초 전북 전주 지역 5개 학교 학생 440여명이 집단으로 식중독에 걸렸습니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로 만든 김치가 ...
-
식약처, 학교 주변 분식점·매점 위생점검
식품의약품 안전처는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인 그린푸드존 안에 있는 식품 조리·판매업소에 대해 위생점검을 합니다.
그린푸드존은 어린이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설정한 학교 주변 200m 범위 안의 구역입니다.
식약처는 이번 점검에서 학교 매점, 분식점, 슈퍼마켓 등이 식품위생법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어린이기호식품을...
-
식약처 신종물질 15종 임시마약으로 지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국내·외에서 마약 대용으로 불법 사용되고 있는 신종 흥분물질 파라-메톡시메스암페타민 등 15개 물질을 임시마약류로 지정한다고 예고했습니다.
이번에 임시마약류로 지정된 물질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며 합성대마, 암페타민 등 기존 마약과 구조가 유사합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식약처 신종물질 15종 임시마약으로 지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국내·외에서 마약 대용으로 불법 사용되고 있는 신종 흥분물질 파라-메톡시메스암페타민 등 15개 물질을 임시마약류로 지정한다고 예고했습니다.
이번에 임시마약류로 지정된 물질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며 합성대마, 암페타민 등 기존 마약과 구조가 유사합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국민 절반 "불량식품 업자 퇴출시켜야"
정부가 우리 국민 가운데 절반 가까운 사람들은 불량식품 관련 업자를 퇴출시키는 등 강력한 처벌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KTV 여론조사 결과를, 김용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국민들의 식탁안전을 위협하는 불량식품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먹거리 문제에 대해 우리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봤습니다.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6...
-
식약처 업무보고 - 불량식품 근절 방안? [집중 인터뷰]
지난달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불량식품 근절과 먹거리 안전관리를 최우선 추진 계획으로 제시했습니다.
식약처 김승희 차장과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프로포폴, 무분별하게 사용시 심하면 사망"
이른바 우유주사로 통하는 프로포플은 중독되기 쉽고,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심하면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독자 치료병원을 지정하고, 비용을 전액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명 '우유주사'로 통하는 프로포폴을 불법 투약한 혐의로 최근 검찰에 기소된 여성 연예인 박시연, 장미인애, 이승연 씨입니다....
-
"프로포폴, 무분별하게 사용시 심하면 사망"
이른바 우유주사로 통하는 프로포플은 중독되기 쉽고,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심하면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독자 치료병원을 지정하고, 비용을 전액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명 '우유주사'로 통하는 프로포폴을 불법 투약한 혐의로 최근 검찰에 기소된 여성 연예인 박시연, 장미인애, 이승연 씨입니다....
-
불량식품 제조·판매시 '징역 3년 이상'
불량식품과의 전면전을 선언한 정부가 식품위해사범에 대한 처벌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앞으로 불량식품을 만들거나 팔다가 적발되면 최소 3년 이상의 징역형을 받게 됩니다.
유진향 기자의 보도입니다.
먹을거리 범죄에 대한 형량하한제 적용범위가 대폭 확대됩니다.
형량하한제는 형량에 하한을 둬서 정해진 기준 이상의 징역형을 부과하는 제도로 현재는 광우병과 조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