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27일 렉키로나주·31일 아스트라제네카 자문회의"
유용화 앵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주와 백신 아스트라제네카의 품목 허가 진행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31일 안전성, 효과성 검증 자문단 회의를 열고, 치료제인 렉키로나주는 27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자문회의에서 결과가 공개됩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영은 기자>
오는 27일, 코로나19 항체 치...
-
"27일 렉키로나주·31일 아스트라제네카 자문회의"
김용민 앵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주와 백신 아스트라제네카의 품목허가 진행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오는 31일 안전성, 효과성 검증 자문단 회의를 열고, 치료제인 렉키로나주는 오는 27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자문회의에서 결과가 공개됩니다.
최영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영은 기자>
오는 27일, 코로나19...
-
지난해 공기업 절반, 고졸채용 없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이유리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이유리 팩트체커>
지난 2019년, 정부는 고졸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고졸취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공공부문 채용에서는 고졸 비중을 단계적으로 늘리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최근 한 신문에서는 ‘지난해 공기업 절반이 고졸채...
-
설 성수품 '소비쿠폰' 발행···부정행위 단속 강화
신경은 앵커>
설 명절을 앞두고, '주요 성수품 가격'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정부는 공급 확대와 소비 진작은 물론, 성수품을 대상으로 집중 점검을 진행합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설 명절 주요 성수품인 사과는 명절 특수를 겨냥한 대기물량 등으로 공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배추와 무 역시, 안정적인 가...
-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상담전화 '14-3330'
유용화 앵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전용 전화'인 '14-3330'을 신설한다고 밝혔습니다.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는 정상적인 의약품 사용에도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부작용 피해를 국가가 보상하는 제도입니다.
피해구제 전용 번호를 이용하면, 피해구제의 '범위'와 '보상기준'에 대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설 성수품 '소비쿠폰' 발행···부정행위 단속 강화
김용민 앵커>
설 명절이 3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주요 성수품의 가격은 평년보다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정부는 공급확대와 소비 진작에 나서는 한편, 성수 식품에 대한 일제점검도 벌입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설 명절 주요 성수품인 사과는 명절 특수를 겨냥한 대기물량 등으로 공급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배추와...
-
고춧대가 코로나19 예방?···'가짜뉴스' 강력 대응
유용화 앵커>
고추의 대를 달여 차로 마시면 코로나19 예방은 물론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며 허위광고를 하고 판매까지 한 한의사와 판매 업체가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신경은 앵커>
정부는 이들을 고발하고, '허위 정보 대응'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입니다.
이수복 기자>
한 인터넷 쇼핑몰에 올라온 광고 글입니다.
고추를 수확하고...
-
고춧대가 코로나19 예방?···'가짜뉴스' 강력 대응
김용민 앵커>
고추의 대를 달여 차로 마시면 코로나19 예방은 물론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며 허위광고를 하고 판매까지 한 한의사와 판매업체가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정부는 이들을 고발 조치하는 한편, 이 같은 허위정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한 인터넷 쇼핑몰에 올라온 광고 글입니다.
고추를 ...
-
고춧대가 코로나19 예방?···'가짜뉴스' 강력 대응
박천영 앵커>
고추의 줄기를 달여서 차로 마시면 코로나19를 예방하는 것은 물론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는 허무맹랑한 광고를 내고, 제품을 판매한 한의사와 업체가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정부는 이들을 고발 조치하고, 가짜 정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한 인터넷 쇼핑몰에 올라온 광고 글입니다.
...
-
찌개 같이 먹는 식습관, 코로나19 확산 불렀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이유리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이유리 팩트체커>
한국의 식습관, ‘한솥밥’문화가 코로나19 확산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찌개나 반찬을 한 곳에 담아놓고 여럿이서 함께 떠먹는 식습관이 음식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우려가 크다는 겁니다.
정말 음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