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독감백신접종, 차질 없도록 최선" [브리핑타임]
# 10월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녹취> 강기윤 / 국민의힘 의원
"정부는 상온에 노출됐던 백신 539만개 중 48만개를 폐기처분하고 나머지는 사용해도 좋다고 했는데 그 백신은 누가 맞아야 합니까?"
녹취>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저는 언제라도 가서 독감백신을 접종하고 국민들을 안심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11월부터 식품취급시설 종사자 마스크 의무화
신경은 앵커>
다음 달부터 식품취급시설 종사자에 대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됩니다.
개정된 '식품위생법 시행 규칙'에 따르면 다음 달 6일부터 식품취급종사자는 기존 위생모 착용에 더해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합니다.
개정안에는 또, 감염병 위기 경보 경계 또는 심각이 발령되면, 손님이 손을 소독할 수 있는 용품이나 장치를 의무적으로 갖춰야 하는...
-
코로나19 억제 효과 '빨간약'···"먹으면 안 됩니다"
유용화 앵커>
빨간약으로 불리는 소독약 포비돈 요오드, 익숙하시죠.
최근 이 포비돈 요오드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화제가 됐는데요.
사실은 무엇인지, 박천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박천영 기자>
광범위한 살균 효과가 있는 소독약, 포비돈요오드.
찢긴 상처와 화상, 피부의 염증 부위를 소독하는데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에...
-
독감 백신 일부 수거 관련 식약처 브리핑
독감 백신 일부 수거 관련 식약처 브리핑
이의경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최원석 / 고려대학교 감염내과 교수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이의경입니다.
한국백신사 인플루엔자 백신의 품질 이상 조사결과를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백신사의 인플루엔자 백신 코박스플루4가PF주의 4개 제조단위 총 61만 5,00...
-
코로나19 백신, 안전하고 전략적인 확보 우선 [브리핑타임]
녹취> 정세균 국무총리 (9월 15일 제47회 국무회의)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방역이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결국, 궁극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백신이 필요합니다."
녹취> 권준욱 /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9월 15일 정례브리핑)
"전 세계 지금 179개의 백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중에 34개가 임상시...
-
"독감백신 품질 이상 없다"···예방접종 12일 재개
유용화 앵커>
상온에 노출된 독감 백신에 대한 품질 검사 결과 안전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앵커>
이에 따라 '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은 오는 12일쯤 재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관리청은 상온 노출 독감백신에 대한 품질평가 결과 일부 백신이 상온에 노출됐지만 품질에는 영...
-
인플루엔자 백신 관련 질병관리청-식약처 브리핑
인플루엔자 백신 관련 질병관리청-식약처 브리핑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김상봉 /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성백린 /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장소: 질병관리청 브리핑룸)
-
'상온노출' 독감 백신 품질검사 결과 오늘 발표
박천영 앵커>
상온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되고 있는 독감 예방 백신의 품질검사 결과가 오늘 발표됩니다.
이는 지난달 22일 국가 독감 무료접종 사업이 전격 중단된 지 2주 만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유통조사 결과를 토대로 9개 지역에서 운송조건을 가장 크게 벗어난 제품 1천350도즈를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의뢰받아 품질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
코로나19 백신, 안전하고 전략적인 확보 우선 [브리핑타임]
녹취> 정세균 국무총리 (9월 15일 제47회 국무회의)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방역이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결국, 궁극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백신이 필요합니다."
녹취> 권준욱 /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 (9월 15일 정례브리핑)
"전 세계 지금 179개의 백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중에 34개가 임상시험에 ...
-
'상온노출' 독감 백신 품질검사 결과 오늘 발표
임보라 앵커>
상온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독감예방접종사업용 백신의 품질검사 결과가 오늘(6일) 발표됩니다.
지난달 22일 국가 독감 예방접종 사업이 전격 중단된 지 2주 만입니다.
식약처는 유통조사 결과를 토대로 9개 지역에서 운송조건을 가장 크게 벗어난 제품 1천350도즈를 질병청으로부터 의뢰받아 품질 검사를 진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