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식품위생법 반복 위반업체 12곳 적발
이혜은 앵커>
닭고기 포장육에 유통기한을 늘린 스티커를 붙여 판매하는 등 식품위생법을 반복 위반한 업체들이 적발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영업자가 운영하는 업체 290곳을 집중 점검한 결과 모두 12곳이 적발됐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유통기한 변조 제품을 압류했으며 해당 업체는 폐쇄 조치할 예정입니다.
-
5월부터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원인조사 결과 공표
이혜은 앵커>
오는 5월부터 건강기능식품의 부작용에 대한 원인조사 결과가 공표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5월부터 건강기능식품 섭취로 인한 이상 사례가 발생하면 인과관계를 조사 분석해 그 결과를 공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6월부터는 건강기능식품 이력추적관리 의무화 대상자도 연 매출액 1억 원 이상의 건강기능식품 유통판...
-
5월부터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원인조사 결과 공표
임보라 앵커>
오는 5월부터 건강기능식품의 부작용에 대한 원인조사 결과가 공표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5월부터 건강기능식품 섭취로 인한 이상 사례가 발생하면 인과관계를 조사 분석해 그 결과를 공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6월부터는 건강기능식품 이력추적관리 의무화 대상자도 연 매출액 1억 원 이상의 건강기능식품 유통판...
-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단속···성수품 일제점검
임보라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사업장을 집중 단속합니다.
또, 안심하고 설 성수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위생관리 등 일제점검을 실시하는데요.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지난해 11월 기준 근로자들에게 제때 지급되지 못한 임금은 3천983억 원.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예방과 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 기간'을 ...
-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단속···성수품 일제점검
신경은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사업장'을 집중 단속합니다.
또 성수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위생 관리 등 일제 점검을 시행합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지난해 11월 기준 근로자들에게 제때 지급되지 못한 임금은 3천983억 원.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예방과 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 기간'을 ...
-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단속···성수품 일제점검
김용민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사업장을 집중 단속합니다.
또, 안심하고 설 성수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위생관리 등 일제 점검도 실시합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지난해 11월 기준 근로자들에게 제때 지급되지 못한 임금은 3천983억 원.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예방과 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 기간'을 ...
-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단속···성수품 일제점검
이혜은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사업장을 집중 단속합니다.
또, 안심하고 설 성수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위생관리 등 일제 점검도 실시합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지난해 11월 기준 근로자들에게 제때 지급되지 못한 임금은 3천983억 원.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임금체불 예방과 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 기간'을 ...
-
"생리대 다이옥신·퓨란 발암 위험성 없다"
이혜은 앵커>
여성생리용품에 들어있는 다이옥신과 퓨란이 여성의 신체에 암을 유발한 정도의 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등 생리용품 126개를 대상으로 다이옥신과 퓨란의 독성을 측정한 결과, 인체 위해성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전신노출량을 바탕으로 외부 전문가와 인체에 미칠 ...
-
"생리대 다이옥신·퓨란 발암 위험성 없다"
임보라 앵커>
여성 생리용품에 들어있는 다이옥신과 퓨란은 여성의 신체에 암을 유발한 정도의 위해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등 생리용품 126개를 대상으로 다이옥신과 퓨란의 독성을 측정한 결과, 인체 위해성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전신노출량을 바탕으로 외부 전문가와 인체에 미칠...
-
해외직구 '단백질보충제'서 테스토스테론 검출
이혜은 앵커>
해외 직접구매로 국내에 들여올 수 있는 '단백질 보충제'에서 스테로이드 성분인 테스토스테론이 검출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근육량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섭취하는 단백질 보충제 195개를 수거해 검사한 결과, 해외 직구 제품 1개에서 스테로이드 성분인 테스토스테론이 검출돼 관세청에 통관차단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단백질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