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자문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고령자 접종 가능"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자문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고령자 접종 가능"

등록일 : 2021.02.01

김용민 앵커>
식약처 검증 자문단이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또 임상 최종 결과보고서 제출을 조건으로 국내 허가할 수 있다고 자문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식약처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임상 자료를 토대로 안전성, 효과성 검증 자문단 회의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음성인 만 18세 이상 성인 8천895명이 표준용량 2회를 투여받은 결과, 코로나19 확진자는 백신군 27명, 대조군 71명으로 약 62%의 예방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녹취> 김상봉 /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이는 WHO 등 코로나19 백신 효과 평가와 관련된 국내외 기준, 즉 예방효과 50% 이상을 만족하는 결과입니다."

백신 2회 투여 후 항체의 양인 결합항체는 503배, 바이러스 예방을 유도하는 중화항체는 8.5배 증가했습니다.
주사부위 통증 등 백신 접종 후 예측되는 이상 사례는 대부분 경증에서 중간 정도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백신군 0.7%, 대조군 0.8%에선 중대한 이상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검증 자문단은 안전성 경향성이 허용할 만한 수준이라면서도, 횡단성 척수염 등 신경계 관련 이상반응 발생은 허가 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한편 만 65세 이상 고령자 백신군과 대조군에선 각 1건씩 코로나19가 발생했습니다.
다만 심각한 질환은 없었고 면역반응과 이상 사례 발생률도 성인군과 유사한 수준이어서, 고령자 투여를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녹취> 김상봉 /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다수의 전문가들은 참여대상자 중 고령자 수가 적다는 이유만으로 고령자에 대한 투여를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었습니다."

한편 검증 자문단은 효과성이 확인된 표준용량으로 2회 투여하고, 투여 간격은 4~12주가 적절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임신기간 중에는 투여를 권장하지 않는다는 의견이었습니다.
검증 자문단은 임상 최종 결과보고서와 미국에서 진행 중인 임상 중간 분석자료를, 허가 후 제출하는 조건에 한해 국내 허가할 수 있다고 자문했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이기환 / 영상편집: 이승준)
식약처는 오는 4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 안전성, 효과성 등에 대한 자문을 받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KTV 채효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