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세계 특별여행주의보 재발령···내년 1월 16일까지
신경은 앵커>
외교부가 우리 국민의 모든 국가, 지역 해외 여행에 대한 '특별여행주의보'를 재발령했습니다.
외교부는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 등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해외 여행을 취소하거나 연기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번 특별여행주의보는 별도의 연장 조치가 없는 한 내년 1월 16일까지 유지됩니다.
-
내일부터 '온라인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
신경은 앵커>
정부가 내일부터 '온라인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를 시행합니다.
민원인이 주소지와 상관없이 정부24, 영사민원24 누리집을 통해 재발급을 신청하고, 국내 여권사무대행기관이나 재외공관을 방문해 여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할 때는 여권용 사진 규정을 확인해야 하며 온라인 신청된 여권은 주민등록번호 없이 발급됩니다.
-
대북전단살포금지법···"국민 생명권 보호"
박천영 앵커>
이른바 '대북전단살포금지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앞으로 접경 지역에서 대북전단을 뿌리면 처벌을 받게 되는데요.
정부는 국민의 생명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지난 6월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한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를 폭파하자, 불안감에 빠진 접경지역 주민들...
-
대북전단살포금지법···"국민 생명권 보호"
유용화 앵커>
이른바 '대북전단살포금지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앞으로 접경 지역에서 대북전단 등을 살포하면 처벌을 받는데요.
정부는 국민의 생명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지난 6월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한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를 폭파하자, 불안감에 빠진 접경지역 주민들은...
-
대북전단살포금지법···"국민 생명권 보호"
김용민 앵커>
이른바 '대북전단살포금지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앞으로 접경지역에서 대북전단 등을 살포하면 처벌을 받는데요.
정부는 국민의 생명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지난 6월 대북전단 살포에 반발한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를 폭파하자, 불안감에 빠진 접경지역 주민들은 ...
-
'바이든 행정부 한미 협력' 화상 토론회 개최
유용화 앵커>
외교부가 '바이든 행정부로의 전환과 한미 협력에 관한 전망'을 주제로 화상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다자주의 복원과 다자체제에서의 미국의 리더십 강화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보건, 기후변화, 사이버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오는 21일부터 '주민등록번호 없는 여권' 발급
유용화 앵커>
외교부가 오는 21일부터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표기하지 않은 여권을 발급합니다.
이 여권을 소지한 우리 국민의 출입국에 불편이 없도록 세계 각국의 출입국당국에 통보했다고 외교부는 밝혔습니다.
또 전국 무인민원발급기에서 여권정보증명서를 발급받으면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여권도 계속 신분증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
강경화 외교부 장관
어서오세요, 총리식당입니다 (1회)
총리식당 = 삼청동 국무총리공관
총리식당의 첫 번째 손님: 강경화 외교부장관
- 연말, 각국 장차관들의 방한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에서 K-방역의 위상을 실감하게 했다.
- 코로나19 상황에서 더욱 빛났던 한국의 외교 능력 : 재외국민의 송환 과정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대한민...
-
"일본 오염수 방류, 국제기준 미준수 반대"
유용화 앵커>
정부는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과 관련해, 국제 기준을 준수 하지 않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라 일본의 계획이 안전한지, 계획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철저히 검증할 권리가 우리에게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박성욱 기자>
정부가 국제기준을 지키지 않는 일본의 후쿠시마 ...
-
"백신 구매계획 내일 발표···중국산 제외"
박천영 앵커>
정부가 내일 코로나19 백신의 구매 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백신 구매량 확대나 구매 시기에 대한 입장이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안전성과 유효성 데이터 확보 문제로 중국 백신은 많은 선진국이 구매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