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문화
-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모지안 앵커>한반도 대표 명산,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가치가 어우러진 '복합유산'으로 인정받았는데요.이번 등재로 북한은 모두 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습니다.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북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습니다.북한이 지난 2021년 등재 신청서를 낸 지...
-
여름 휴가철 해수욕 및 물놀이 행사 등 지역축제·행사로 지역활력 돋운다
김현지 기자>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축제가 개최됩니다.올해 7~8월 지자체에서 개최하는 지역 축제·행사는 총 120건인데요.대표적으로 보령 머드 축제와 장흥 물축제가 각각 25일, 26일부터 관광객을 기다리고요.여름 제철 먹거리 관련 축제로는 홍천 찰옥수수축제와 옥천 포도·복숭아...
-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개막행사 참가자 모집
김현지 기자>다음 달 12일부터 두 달간 덕수궁 돈덕전에서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가 펼쳐집니다.근대기 문화유산으로 광복의 의미를 조명하는 '빛을 담은 항일유산' 특별전인데요.국가유산청이 다음달 11일 덕수궁 석조전 앞에서 열리는 개막행사에 참가할 국민 150명을 모집합니다.참가비는 무료이며 기념 공연과 함께 특별전을 미리 관람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
-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임보라 앵커>한반도 명산으로 손꼽히는 북한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우리나라 '반구천의 암각화'도 하루 앞서 이름을 올리면서 남북한이 나란히 세계유산을 추가했습니다.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북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습니다.북한은 지난 2021년 등재를 신청했지만, 코로나19로 평가가 미뤄지다...
-
강원도 영월군 [함께 힐링]
강원도 영월군
-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김유영 앵커>한반도 명산으로 손꼽히는 북한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우리나라 '반구천의 암각화'도 하루 앞서 이름을 올리면서 남북한이 나란히 세계유산을 추가했습니다.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북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습니다.북한은 지난 2021년 등재를 신청했지만, 코로나19로 평가가 미뤄지다...
-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김용민 앵커>한반도 대표 명산,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가치가 어우러진 '복합유산'으로 인정받았는데요.김현지 앵커>이번 등재로 북한은 모두 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습니다.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북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습니다.북한이 지난 2021년 등재 신...
-
'반구천 암각화', 우리나라 17번째 세계유산 등재
김용민 앵커>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이름을 올렸습니다.김현지 앵커>선사시대부터 약 6천 년의 세월이 바위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요.우리나라의 세계유산도 17건으로 늘어나게 됐습니다.이 소식은, 김유리 기자가 전합니다.김유리 기자>반구대 암각화(장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곡리)푸른 산으로 둘러싸인 물줄기를 따라 자리 잡은 넓은 바...
-
'반구천 암각화', 우리나라 17번째 세계유산 등재
김현지 앵커>울산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이름을 올렸습니다.선사시대부터 약 6천 년의 세월이 바위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데요.우리나라의 세계유산도 17건으로 늘어나게 됐습니다.이 소식은, 김유리 기자가 전합니다.김유리 기자>(반구대 암각화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곡리)푸른 산으로 둘러싸인 물줄기를 따라 자리 잡은 넓은 바위면.'ㄱ' 자 모...
-
유인촌, 프랑스 문화예술 공로 훈장 수훈 김수자에 축전
모지안 앵커>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프랑스 문화예술 공로 훈장, '오피시에'를 수훈한 한국 현대미술 작가 김수자에게 축전을 보냈습니다.유 장관은 축전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가치와 우수성을 세계 무대에 알리는 쾌거로, 내년 수교 140주년을 앞둔 두 나라 문화 교류에 중요한 이정표"라고 축하했습니다.서울과 프랑스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김수자는 한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