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 의견

KTV 는 시청자 여러분의 의견을 프로그램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 특정인을 비방하는 내용, 상업적 게시물, 시청 소감과 관계없는 내용 등은 공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시청소감의 내용들에 대한 답변은 등재되지 않습니다.
  • 해당 프로그램 페이지에서 시청자 소감 작성 및 댓글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사회통합위원회에 대한 기본적 이해부터 진작시켜야

글자확대 글자축소
프로그램명 : KTV 정책대담
작성자 : 지정순(지정순**)
조회 : 936
등록일 : 2011.10.10 08:48
범국민적-범사회적으로
'사회통합위원회’에 대한 기본적 이해조차 형성되어있지 않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위원장에게 ‘사회 원로’에게 자문/의견을 구하는 식의 질문(‘안철수 신드롬’의 원인은? 등)이나 사통위가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권한 밖 질문(대학 등록금 해법은? 등)을 던져
원론적 이야기가 오가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통위에 대한 이해를 보다 더 높이는 데에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습니다.

대통령 소속 위원회인 사회통합위원회의 업무,
특히 16개 ‘핵심 프로젝트’ 영역의 문제 상황--개선 및 발전 상황--미래 해결 과제를
차례로 짚어볼 수 있는 질문들을 던지고,
그에 대한 정부의 보고 및 비전 제시 등이 펼쳐지는 방식으로 구성되면
더 내실을 기할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제 1은 ‘사회 갈등, 진단과 해법’, 주제 2는 ‘분야별 갈등 해소방안’이었는데
주제 2는 결국 주제 1에 속하는 것이므로 대담 주제를 그 같은 방식으로 나눈다는 것이 설득력이 없었습니다.
사통위의 업무를 크게 ‘계층’ ‘이념’ ‘지역’ ‘세대’로 구분해
대담 역시 그 같은 주제 아래 진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었을 것입니다.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