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중관리 생필품 50가지’ 지수개발 검토
이명박 대통령의 '생필품 50가지 집중관리' 지시와 관련해, 체감물가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지수의 개발이 검토됩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업무보고 당시 현재 발표되는 물가지수와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간에 괴리가 있다는 의견이 많아 새로운 지수 개발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이 지시한 대로 ...
방송일자 : 2008.03.18
-
내일 경제,금융상황 점검회의 개최
한편 정부는 19일 최중경 기획재정부 제1차관과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승일 한국은행 부총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합니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회의에서는 경제.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거시경제정책
담당기관 간에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 앞으로의 대응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19...
방송일자 : 2008.03.18
-
FTA 논의 필요
이명박 대통령은 농림수산식품부 업무보고에서 한미 FTA 는 반대할 수 없는 세계적
조라며 이제는 함께 논의해야 할 때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농가부채 완화를 위해 농협의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이경미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한미FTA 필요성을 강하게 역설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한미 FTA는 반대할 수 없는 세계적 조류라며 반대만 할 것...
방송일자 : 2008.03.18
-
돈 버는 농어업으로 적극 육성
농림수산식품부는 올해를 공세적 농수산식품 육성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혔습니다.
유통혁신과 식품산업 육성을 통해 우리 농어업을 돈버는 산업으로 키워나가겠다는
것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업무보고 주요내용을 보도합니다.
김현근 기자>
농림수산식품부의 업무보고는 돈 버는 농어업, 살맛 나는 농어촌 달성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가능한 정책 위주로 ...
방송일자 : 2008.03.18
-
규제완화 경제 살리기
농림수산식품부는 또 침체된 농어촌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농지와 산지 규제도
적극적으로 완화할 예정입니다.
이밖에 국제곡물가격 급등에 대비해 축산 농가에 사료구매자금 1조원을 지원하고
청보리와 밀의 생산도 늘려갈 방침입니다.
앞으로 농지 관련 규제가 과감히 풀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침체된 농지개발을 위해 농지와 산지 규제를 적...
방송일자 : 2008.03.18
-
석유가스 자주개발 2012년 18%
요즘 ‘기름값‘ 하면 겁부터 나시죠.
정부는 해외에너지 개발에 적극 참여해 이를 사용하는 자주개발률을 높여 고유가시대를
헤쳐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최고다 기자>
정부가 고유가 시대를 돌파 하는 해법을 제시했습니다.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남미 국가의 에너지 개발에 참여해 석유와 가스를 확보하겠다는
겁니다.
에너지를 아끼는 것만으론 고유가 시대...
방송일자 : 2008.03.18
-
1회용컵 보증금제 폐지
현재 패스트 푸드점이나 커피점에서 운영되는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20일부터
폐지됩니다.
대신 업계 자율적으로 종이컵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들이 추진됩니다.
이정연 기자>
서울의 한 커피전문점입니다.
일회용컵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50원에서 100원을 추가로 지불하고 있습니다.
일회용컵 사용을 줄이자는 취지로 도입된 컵 보증금 명목...
방송일자 : 2008.03.18
-
'첨단 과학군' 이끈다
'과학수사' 하면 흔히 경찰이나 검찰을 떠올리실텐데, 우리 군에서도 첨단과학
수사의 활약이 대단하다고 합니다.
최근 발생한 네팔 UN헬기 추락사고에서도 신속한 사망자 확인으로 국내외 관계자들을놀라게
했는데요.
국방부 조사본부의 과학수사연구소를 취재했습니다.
김미정 기자>UN 평화유지 임무를 수행하던 고 박형진 대령은 결국 차가운 주검으로 우리...
방송일자 : 2008.03.18
-
금융위원회, 금융 선진화 시동
옛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과 금융감독위원회가 하나로 합쳐진 금융위원회가, 18일
현판식을 하고 서초동 청사 시대를 열었습니다.
금융 선진화를 향한 앞으로의 계획을 보도합니다.
유진향 기자>
국내 금융정책 업무를 총괄하게 되는 금융위원회가 공식 출범했습니다.
여의도에서 서초동 옛 기획예산처 건물로 이전을 완료하고, 현판을 내걸었습니다.
금융위는 앞...
방송일자 : 2008.03.18
-
아일랜드,호주, 외자유치로 경제 활성화
경제를 살리기 위한 외국의 성공한 경제정책을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18일 그 첫번째 시간으로 현재 새 정부가 추진중에 있는 기업친화적 정책과 외자유치
강화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아일랜드와 호주의 사례를 취재했습니다.
오세중 기자>
과거 오랜기간동안 유럽 최저 소득국가의 불명예를 안아왔던 아일랜드,
그러나 아일랜드는 1990년대 중반이후...
방송일자 : 2008.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