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경제 양성화 숨은 세원 찾는다 [톡톡 경제]
계속해서 최대환 리사 켈리가 함께하는 앵커들의 수다, 톡톡경제 시간입니다.
리사 앵커는 탈세와 절세의 차이를 알고 있나요?
그럼요. 탈세는 세금을 떼먹는 범죄 행위고, 절세는 꼭 필요한 세금만 내는 절약 행위잖아요.
역시, 정확하게 알고 있네요.
그럼 막대한 규모의 세금이 새어나가는 탈세의 온상, 숨은 세원들의 집합체를 뭐라고 하는지 아시나요?
아...
방송일자 : 2013.06.12
-
전력 비상, 에너지 절약 백서[100년의 행복 희망 대한민국]
리사씨, 요즘 날씨 덥죠?
어우 더워요
오늘은 비가와서 그런지, 좀 나은데, 요즘 에어컨도 안트는 데가 많더라구요
전력수급에 비상등이 켜졌으니까요, 정부도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을 세우고 있고, 우리 국민도 에너지 절약에 동참해야 할 상황입니다.
근데, 에너지 절약, 어떻게 해야되는지 잘 모르겠어요
지금부터 나오는 화면 보시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방송일자 : 2013.06.12
-
6월 8일부터 PC방 전면 금연! [이슈! e-세상]
소통을 통한 행복 대한민국 만들기에 앞장섭니다.
이슈! e-세상 시간입니다.
오늘도 어떤 소식을 가지고 왔는지 기대되는데요?
빨리 소개하죠.
먼저, SNS 전문가, 인맥경영 연구원의 구창환 원장, 나오셨습니다.
그리고 SNS 소통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의 김윤주 주무관, 나오셨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
방송일자 : 2013.06.12
-
남북당국회담 무산 앞으로 남북관계는? [라이브 이슈]
오늘로 예정됐던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됐습니다.
이처럼 회담이 막판에 무산된 이유가 무엇인지, 앞으로 남북간 대화는 어떻게 진행될 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나오셨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3.06.12
-
이 시각 주요뉴스
이 시각 주요뉴스
방송일자 : 2013.06.12
-
"남북당국회담, 수정제의 안한다"
남북 당국회담과 관련해 우리 정부는 수정 제의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북한이 응해 온다면 언제든지 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표윤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부는 북한이 문제삼았던 수석대표를 수정하면서까지 우리가 먼저 대화제의에 나서진 않겠다는 뜻을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현 상황에서 수정제의를 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북한이 생각...
방송일자 : 2013.06.12
-
판문점 남북 연락채널 불통
판문점 남북 연락채널이 또 다시 끊겼습니다.
회담 무산에 대한 북측의 후속 조치로 풀이됩니다.
유진향 기자입니다.
오전 9시와 오후 4시, 우리측 연락관이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북한에 통화를 시도했지만 북한은 전화를 받지 않았습니다.
지난 3월 11일 북한의 일방적인 단절 통보로 끊긴 남북 연락채널은 남북회담을 위해 지난 7일 재가동됐지만 닷새 만...
방송일자 : 2013.06.12
-
과거 남북회담서도 '격' 문제
이번 남북회담이 무산된 것은 수석대표의 이른바 '격' 문제였는데요, 과거 남북회담에서 이 문제가 꾸준하게 제기됐습니다.
김용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본격적인 남북간 장관급 회담이 열린건 지난 2000년.
이후 열린 21차례의 장관급 회담에서 우리 정부는 장관을, 북측은 내각책임참사를 수석 대표로 내세웠습니다.
북한은 우리와 달리 장관이라는 직책이 없...
방송일자 : 2013.06.12
-
"대입전형 간소화…8월 대책 발표"
서남수 교육부장관이 복잡한 현재의 대학입학전형을 간소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 장관은 오늘(12일) 한국정책방송 KTV '조전혁의 정책읽기'에 출연해 대입과 관련해 전반적인 견해를 밝혔는데요, 김경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KTV 정책 토크 프로그램 '조전혁의 정책읽기'에 출연해 대학입시제도에 대한 견해를 밝혔습니다.
서 장관은 현...
방송일자 : 2013.06.12
-
"지난 정부 때 공기업 부채 급증"
공기업 부채가 지난 정부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인은 국책사업 추진이었습니다.
보도에 강필성 기자입니다.
감사원이 9개 공기업에 대한 감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 2007년 말 128조원이었던 부채규모가 4년여 만에 두 배 넘게 증가한 284조원인 것으로 나탔습니다.
부채가 급증한 것은 지난 정부 때 실시된 무리한 사업 추진 때문이라는 ...
방송일자 : 201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