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라오스를 방문 중이던 박근혜 대통령은 예정보다 일찍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라오스 현지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소집한 데 이어,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도 전화통화를 통해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유진향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라오스를 공식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현지에서 북한의 5차 핵실험 징후를 보고 받았습니다.
즉시 황교안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소집을 지시했고 수행중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김규현 외교안보수석 등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습니다.
이어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메시지를 내놨습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자 국제사회에 대한 중대한 도전 행위라며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특히 동아시아정상회의가 북핵 포기를 촉구한 성명을 채택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핵실험을 감행했다고 비판했습니다.
녹취>정연국 / 청와대 대변인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한 것은 국제사회의 단합된 북핵 불용 의지를 철저히 무시하고 핵개발에 매달리는 김정은정권의 광적인 무모함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아울러, 김정은 정권은 더욱 강도 높은 제재와 고립을 얻을 것이며 결국 자멸의 길을 더욱 재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녹취>정연국 /청와대 대변인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하에 유엔 안보리 및 양자 차원에서 추가적으로 더욱 강력한 제재조치를 강구하는 한편,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해 모든 수단을 다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박 대통령은 아세안 관련 회의를 마치고 귀국 중인 오바마 미국대통령과 15분 동안 전화통화를 하고 북핵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한미 두 정상은 가용한 모든 수단을 사용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더욱 강력히 압박하는 한편, 이를 위한 국제사회와의 협력도 한층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오늘 예정된 라오스 공식 방문 일정 중 한-라오스 정상회담과 양해각서 서명식에만 참석하고 나머지 일정을 취소했습니다.
상황의 엄중함을 반영한 것으로 박 대통령은 오늘 저녁 전용기를 이용해 조기 귀국할 예정입니다.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KTV 유진향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