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계속해서 라이브 이슈 코너 이어가겠습니다.
중국이 북한산 석탄을 받지 않겠다고 공표했습니다.
한미일 6자 회담 수석 대표는 대북제재 이행 약속과 공조체제를 공고히 했고요.
그런데, 최근 북한에서는 돌연 육상에서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한미일 3국 국방관계자가 모여 탄도미사일 대응 방안을 논의합니다.
전방위 압박을 하는 국제사회와 이와 무관하게 갈 길 가는 북한의 자세.
한 번 짚어봐야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박원곤 교수와 함께 합니다.
<추가1>
우선 최근 소식부터 전하죠.
나토가 북한 도발에 대해 성명을 발표했죠.
북핵문제 논의만을 별도로 개최하고 대북 성명을 발표한 것이 이번이 처음이라구요.
나토의 조치, 의미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겠죠?
<추가2>
한미일 안보회의도 오늘 개최, 북한 핵미사일 대응을 논의한다고 하죠.
현재 북한에 전할 수 있는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1.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의 주요 내용이, 북한 석탄 수출 상한제 이행에 관한 것인데요.
한미일 공조, 북한이 느끼는 압박은 어느 정도일까요?
2.
참석한 미 수석은 트럼프 정부의 대북제재가 일관성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죠.
어떻게 보십니까?
변화 가능성은?
3.
CNN에서는 트럼프가 김정은과 직접대화 나설 가능성을 제기도 했거든요.
어떨까요?
4.
중국이 달라졌나요?
북한산 석탄을 끊겠다고 처음 공표했습니다.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 실현 가능할까요?
(실질적 차단효과)
5.
미중 갈등 속에 대북제재가 느슨해질 거라는 전망도 나오는데요.
중국과의 공조를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대책은 있을까요?
6.
우리 정부는 조만간 한러 고위급 협의 시도 의지를 내보였습니다.
그렇다면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5자 회담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7.
현재의 대북제재와 압박식 북핵 접근법이 억제 효과가 커질 수 있을 거라고 보십니까?
8.
남북한 직접 대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9.
북한이 남북대화보다는 6자회담 의지가 앞설 거라는 예상도 나옵니다.
6자회담 실현 가능성, 그리고 그 시기를 가늠해본다면요?
10.
UN이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관련해 새로운 대북 제재를 고려중이라는 공식입장을 밝혔습니다.
조만간 나올 또 다른 대북 제재는 어느 수준을 예상해볼 수 있을까요?
11.
걱정은 제재로 인해 실질적으로 피해를 입을 북한 주민들입니다.
제재와 함께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없을까요?
또 이에 대한 세계적 노력도 필요할 듯 싶은데요.
12.
2017년 세계적 대북제재와 압박에 따른 북한의 변화 시나리오, 어떻게 보십니까?
(다가올 북한의 가장 큰 변화는?)
MC>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박원곤 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