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통계로 보는 한국 여성의 오늘···일·가정 양립의 현실화는? [정책공감]

4시& 브리핑

통계로 보는 한국 여성의 오늘···일·가정 양립의 현실화는? [정책공감]

등록일 : 2016.12.20

MC>
다음은 라이브 이슈 순서입니다.
늘어나는 여성들의 경제활동으로 일과 가정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지난주 '2016 일 가정양립 지표'가 통계청에서 발표됐죠.
우리 시대의 남과 여, 그리고 일과 가정양립이 동반 성장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평등사회연구실 홍승아 실장님과 함께 합니다
Q0>
우선 일 가정 양립 지표 전체를 본 소회가 궁금합니다.
우리 사회 일·가정 양립 인식과 도입률이 많이 발전한 것으로 보셨나요?
Q1>
자세한 지표를 보죠.
지난해 육아유직 사용자가 8만 7372명으로 전년대비 13.7% 늘었습니다.
남성 휴직자가 42.5%로 가파른 증가율을 보였는데요.
남성 휴직자의 급증 이유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Q2>
하지만 여전히 여성 휴직자가 94.4%이고 남성 휴직자는 5.6%으로 압도적인 여성휴직자가 많습니다.
더더구나 휴직이 경력단절로 이어지는 여성 비율이 높죠.
결혼과 임신, 육아와 자녀교육이, 기혼 여성 경력 단절의 주요 원인들입니다.
특히 육아와 임신-출산 부분이 1년~2년 전보다 증가하고 있는 원인은 그만큼 출산과 육아 환경의 문제 아닐까요?
Q3>
이 때문일까요.
자녀가 어리고 자녀수가 많을수록 맞벌이 가구 비율은 낮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2015년 가정양육 아동 수 특히 23개월까지의 아동 69%가 가정에서 양육된 부분과 맞닿는 부분입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Q3-1>
직장 내 보육시설은 작년 기준 50.5%가 직장 내 어린이집을 설치했습니다.
2006년부터 쭉 증가하다가 감소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더불어 직장 내 보육시설이 여성의 경력단절에 주는 영향이 얼마나 크다고 보시는지?
Q4>
눈에 띄는 부분은 기혼 여성의 고용동향입니다.
50세~54세 기혼여성 고용률이 40대를 추월 66.1%로 가장 높습니다.
연령이 높을수록 고용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Q5>
맞벌이 가구의 평균 근로시간은 1%정도 차이일 뿐 대동소이 합니다.
반면 맞벌이상태의 가사노동시간 차이는 남성평균 40분, 여성은 3시간 14분입니다.
10년 전에 비해도 큰 차이가 없고 여전히 편중된 모양새예요
어떻게 보십니까?
Q6>
우리나라 여성 평균 초혼 연령이 최초로 30대에 진입했다는 결과도 있었습니다.
더불어 가임여성 비중도 절반 아래로 내려가면서 인구환경이 더욱 나빠지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생기는 부분입니다.
어떤가요?
Q7>
평균 출산율이 작년 기준1.24명으로 OECD 최저 수준입니다.
이 부분은 고용과 양육 일·가정 양립 인식 모든 부분의 포괄적인 문제점이 드러나는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해결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까요?
Q8>
가족친화 인증제도 관한 부분도 눈길을 끕니다.
의외로 가족친화 인증 받은 중소기업이 68.4%로 공공기관 대기업을 훨씬 앞지릅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Q9>
일과 가정의 우선도 평가는 남녀 모두 일을 우선이라는 선택이네요.
특이한건 30대와 60대에서 상대적으로 가정생활을 우선시 하는 비율이 높게 나왔습니다.
30대와 60대 결혼과 가족구성원의 증가 때문일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Q10>
마지막으로 일-가정 양립을 위한 풀어야 가야할 숙제는 무엇인가?
MC>
참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평등사회연구실 홍승아 실장님과 함께 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