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풍성해진 '복지로' ···복지 현황 개방으로 얻는 헤택은? [라이브 이슈]

4시& 브리핑

풍성해진 '복지로' ···복지 현황 개방으로 얻는 헤택은?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6.12.21

MC>
다음은 라이브 이슈 순서입니다.
어렵고 복잡한 사회보장정보 통계데이터를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급자 현황 등이 공개됩니다.
2019년 까지 전면 개방을 목표로 하고 있는 '복지로' 공공데이터이로 인해 국민들이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지 점검해보도록 하죠.
보건복지부 복지정보과 임금찬 과장과 함께 합니다.
Q1>
사회보장정보 통계 41종이 국민들에게 개방됩니다.
통계데이터 개방 대상과 주요 내용에 대해 소개부터 해주시죠.
Q2>
사회보장정보 통계데이터 개방 목록 선정 배경과 이유가 있을텐데요?
Q3>
공개 데이터에 기초생활 관련과 장애복지 제도가 가장 많은 공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Q4>
통계데이터 공개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는 평가가 있는데요.
이번 공개로 인해 수급자인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Q5>
다양한 연구활동과 제조-통신 업체에 통계 데이터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는 평가인데요.
통계 데이터 활용 범위와 구체적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Q6>
2019년 전면 개방을 목표로 하고 있죠?
향후 단계적 공개 확대 예정인 가능 데이터들이 있을텐데요.
전면 개방으로 인해 얻게 될 파급효과는 또 어떤 부분일까요?
Q7>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우리 국민의 '복지로'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하죠.
우선 '복지로' 사이트의 주요 서비스 분야는 어떤 것들이 담겨 있을까요?
Q8>
눈에 띄는 건 '도움신청하기'란에 본인 신청도 가능하지만 이웃 신청란이 있었습니다.
실제 이웃을 위해 신청한 사례와 지원 사례가 많나요?
어느 정도나 될까요?
Q9>
나에게 필요한 복지를 한 눈에 찾을 수 있다?
본인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복지로’활용 방법은 무엇일까요?
(구체적 사이트 이용방법)
Q10>
보건복지콜센터 129 사용현황은 어느 정도 되는지, 또한 어떤 경우 129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지 방법도 설명부탁드립니다.
Q11>
복지로!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신고 포상금 지급 제도도 있죠?
포상 현황과 함께 사례가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또 이로 인한 부정수급 방지효과는 어느 정도인지도 궁금합니다.
Q12>
복지로에 추가하고픈 내용 또는 국민 요구 사항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MC>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복지로’ 사이트에 접속에서 나에게 맞는 복지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꼼꼼히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도움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복지정보과 임근찬 과장과 함께 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