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다음은 라이브 이슈 순서입니다.
어렵고 복잡한 사회보장정보 통계데이터를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급자 현황 등이 공개됩니다.
2019년 까지 전면 개방을 목표로 하고 있는 '복지로' 공공데이터이로 인해 국민들이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지 점검해보도록 하죠.
보건복지부 복지정보과 임금찬 과장과 함께 합니다.
Q1>
사회보장정보 통계 41종이 국민들에게 개방됩니다.
통계데이터 개방 대상과 주요 내용에 대해 소개부터 해주시죠.
Q2>
사회보장정보 통계데이터 개방 목록 선정 배경과 이유가 있을텐데요?
Q3>
공개 데이터에 기초생활 관련과 장애복지 제도가 가장 많은 공개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Q4>
통계데이터 공개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는 평가가 있는데요.
이번 공개로 인해 수급자인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Q5>
다양한 연구활동과 제조-통신 업체에 통계 데이터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는 평가인데요.
통계 데이터 활용 범위와 구체적 사례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Q6>
2019년 전면 개방을 목표로 하고 있죠?
향후 단계적 공개 확대 예정인 가능 데이터들이 있을텐데요.
전면 개방으로 인해 얻게 될 파급효과는 또 어떤 부분일까요?
Q7>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우리 국민의 '복지로'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하죠.
우선 '복지로' 사이트의 주요 서비스 분야는 어떤 것들이 담겨 있을까요?
Q8>
눈에 띄는 건 '도움신청하기'란에 본인 신청도 가능하지만 이웃 신청란이 있었습니다.
실제 이웃을 위해 신청한 사례와 지원 사례가 많나요?
어느 정도나 될까요?
Q9>
나에게 필요한 복지를 한 눈에 찾을 수 있다?
본인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복지로’활용 방법은 무엇일까요?
(구체적 사이트 이용방법)
Q10>
보건복지콜센터 129 사용현황은 어느 정도 되는지, 또한 어떤 경우 129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지 방법도 설명부탁드립니다.
Q11>
복지로!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신고 포상금 지급 제도도 있죠?
포상 현황과 함께 사례가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또 이로 인한 부정수급 방지효과는 어느 정도인지도 궁금합니다.
Q12>
복지로에 추가하고픈 내용 또는 국민 요구 사항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MC>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복지로’ 사이트에 접속에서 나에게 맞는 복지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꼼꼼히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도움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복지정보과 임근찬 과장과 함께 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