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노믹스 향배에 전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내수부양과 보호무역주의를 주장하는 미국의 현재 경제정책의 포인트는 '불확실성’ 입니다.
그 불확실함으로 세계 환율과 물가가 요동치고 있는 상황인데요.
'트럼프 노믹스’가 우리에게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에 대해 건국대 금융IT학과 오정근 교수와 함께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달러 환율이 11월 이후 최저치로 급락했습니다.
막 기지개를 켜던 수출 산업에 환율 하락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지 우려됩니다.
2.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중국-일본-독일 등 상대로 환율이 절하됐다고 맹비난하면서 환율 전쟁을 예고했죠.
이에 외환시장이 즉각 반응했는데요.
급락세 전환이 우려할만한 수준인지 장기전 가능성은 없을지요?
3.
미국 연준이 현행 금리를 유지키로 했지만 추가 대안이나 반응이 없어 달러화 약세를 견인했다는 의견입니다.
금리 동결 후 추가 문구를 내놓지 않았다는 건 어떤 추리가 가능한 일인가요?
4.
미 연준은 3월, 6월 9월, 12월에 열립니다.
6월 금리 인상을 예측하는 의견이 많은데요.
연준금리인상 시기는 언제쯤 될지?
5.
아직은 트럼프 노믹스 효과를 관망해보려는 의지 같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트럼프 경제정책 공약의 변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6.
최근 미국이 한국산 화학제품에 예비 반덤핑 관세 부과 판정을 내렸습니다.
출범 직후 곧바로 이런 조치를 내린 것에 대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6-1.
향후 화학업계나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까요?
7.
향후 미국의 수입규제 조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요?
8.
국방장관 회담으로 외교 국방 정책은 한미동맹 강화에 이의가 없을 듯 합니다.
하지만 경제-무역쪽은 충분히 다른 목소리를 내겠죠?
9.
한미 FTA에 손을 대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TPP 탈퇴와 NAFTA 협상 후 한미 FTA 공격이 이어질 가능성, 높을까요?
10.
한미 FTA 재협상을 강행할 때 어쩔 수 없이 협상테이블에 앉아야할텐데요.
연내 협상 가능성 얘기가 흘러나오는데 사전에 대응책을 준비해야 할 텐데요?
11.
재협상시 우리 무역 손실은 따르겠지만 더 큰 문제는 업종별 타격일텐데요.
어떤가요?
12.
트럼프 경제정책의 긍적적인 면을 얘기하는 의견도 있습니다.
인프라 투자의 인력과 법인세 인하에 따른 호황등으로 세계 경제를 부양하는 힘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MC>
코트라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노믹스가 국내에 미칠 영향이 마냥 부정적이지만은 않다고 하죠.
대규모 인프라 건설 공약이 실행될 경우 철강과 기계, 기자재 시장의 수요 확대로 대미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이를 대비해 우리 수출 동력을 다변화 하고 수출 구조 개선도 필요할 듯 싶습니다.
만반의 준비가 가장 좋은 대응책일테니까요.
지금까지 건국대 금융 IT학과 오정근 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