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현대 육아 조사보고서 '엄마가 쓰는 육아일기' [라이브 이슈]

4시& 브리핑

현대 육아 조사보고서 '엄마가 쓰는 육아일기' [라이브 이슈]

등록일 : 2017.03.02

MC>
다음은 라이브이슈 코너입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엄마가 쓰는 육아일기’가 발간됐습니다.
녹록찮은 육아과정을 통한 우리 사회 현실과 더불어 함께하는 희망을 이야기한 특별한 책.
국립민속 박물관장을 모시고 말씀 나눠보겠습니다.
1.
국립민속 박물관에서 '육아일기'를 발간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2.
특별히 2017년판 육아일기의 기록을 통해 얘기하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요?
3.
‘엄마가 쓰는 육아일기’는 이번이 2편째죠?
1편은 임신과 출산, 돌 전 육아 과정까지 다뤘는데요.
당시 반응은 어땠나요?
4.
국립민속박물관이 '육아'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가 특별히 있을까요?
5.
육아일기의 주인공은 '아라찬!'이라는 친구인데요.
처음 '아라찬'을 육아일기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6.
2편은 돌부터 초등학교1학년까지의 육아 과정입니다.
이 시기는 아이와 부모가 가장 큰 변화를 겪는 시기가 아닌가 싶어요.
걷고, 말하고, 소통과 교육이 이어지는 중요한 시기니까요.
'돌부터 초1까지' 과정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7.
육아 과정 중, 출산과 출산 휴직, 육아 휴직 등의 고민과 갈등이 가장 풀기 어려운 숙제들 입니다.
아라찬의 경우는 이런 부분을 어떻게 지혜롭게 대처했을까요?
7-1.
이와 관련돼, 부모와 아이를 위해서 육아 관련 정책 개선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8.
'아라찬'은 중간에 꽤 큰 변화의 시기가 오는데요.
바로 '귀촌'입니다.
'숲속마을'로의 이전은 대안 교육의 한 형태를 보이는데요.
마을과 마을 사람들이 '아라찬'에게는 또 다른 양육자와 새로운 공간이 되는 셈인데요.
어떤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을까요?
9.
생각해보면 조선시대에도 '양아록'이라는 할아버지의 육아일기가 있었잖아요.
'아라찬'의 경우도, 할아버지 할머니가 양육에 참여하게 됩니다.
다양한 양육자 경험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보십니까?
10.
귀촌을 통해 숲속에서 아이를 기른다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라찬'의 육아일기가 현대사회 육아 대안이 되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까요?
11.
아라찬의 옷과 장난감을 비롯한 생활 용품들도 공개가 됐던데요.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을 한다구요?
어떻게 활용되는 건가요?
12.
이 책을 통해, 또는 '아라찬'의 경험을 통해 사람들이 느꼈으면 하는 마음은 무엇일까요?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MC>
아라찬의 육아일기가 단지 기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양육을 통해 미래 사회 준비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 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시즌 3! 아라찬의 중고등학생 시절도 기대해봐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국립민속박물관 천진기 관장과 함께 했습니다.
귀한 시간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