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라이브 이슈에서는 특별한 손님을 한 분 초대했습니다.
북한 평양 시내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랐지만, 민족 반역자로 요덕 수용소에 갇혀 고초를 당하고 남한으로 건너와 북한 인권운동가로 일하고 계신 분이죠.
북한전략연구센터 ‘강철환’ 대표와 함께 북한 인권 현실을 살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1.
현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고 계신데 한국에 오실때부터 '북한 인권' 관련 일을 하고 싶으셨습니까?
아니면 한국에서 특별한 계기가 있었을까요?
2.
미국 부시 전 대통령이 감동한 책으로도 유명하고, 요덕스토리라는 뮤지컬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던 책이죠.
‘수용소의 노래’. 북한 정치범 수용소 생활을 다뤄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는데요.
그곳 생활은 어땠는지 짤막하게나마 듣고 싶습니다.
3.
미국은 2004년 북한인권법을 제정하고 UN은 다음해, 그리고 우리나라도 지난해 북한인권법을 제정했습니다.
‘북한인권법’에 대한 기대가 꽤 크실텐데 ‘인권기록센터 자문단’으로도 활동을 시작하셨죠.
어떤 분야들에 참여하시게 되는 건가요?
4.
북한 인권 관련 핵심과제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탈북자 강제송환, 정치범 수용소, 반인도적 범죄 행위 등... 그중 탈북자 강제 송환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죠.
어떤 방식으로 강제송환이 이뤄지는지와 송환 후 어떤 처벌이 이어지는지 궁금합니다.
5.
탈북자 송환을 막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와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할 듯한데요.
어떤 노력이 뒤따라야한다고 보십니까?
6.
미 국무부가 북한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된 인원이 8만~12만여 명에 이른 것으로 추산했죠. 정치범수용소 내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요?
더불어 북한 정치범수용소 인권실태는 보통 어떻게 파악하고 계신가요?
6-1.
최근 정치범 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생화학무기 생체실험을 한다는 얘기까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아니면 실제 보거나 들으신 부분이 있으시다면?
7.
김정남 사태 후, 북한 인권에 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 내부에서의 반인륜 범죄와 테러는 어떤 형태로 자행되는 것일까요?
8.
북한에서는 '인권'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하지만 최근 남한이나 중국 문화를 많이 접하는 젊은이들에게는 의식에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어떤가요?
9.
오늘은 ‘세계 여성의 날’ 입니다.
각국에서 세계 여성 인권에 대한 관심으로 많은 행사들도 펼쳐지고 있죠.
10.
여성과 함께 ‘아동의 인권 실태’도 심각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얼마 전 제네바 유엔인권 이사회에서 '북한 청소년 강제노동 관련 의제'가 논의 되었는데요. 북한 청소년을 포함한 아동들의 노동착취는 어느 정도 심각한가요?
11.
북한 인권 실태에 대한 국제사회 홍보나 공론화는 충분하다고 보십니까?
아니면 어떤 노력을 더 추가해야한다고 보십니까?
MC>
앞으로도 북한인권을 위해 많은 노력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북한전략센터 강철환 대표와 함께 했습니다.
오늘 말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