ㅅ받침이 ㅌ으로 (예사소리가 거센소리로)되는 현상!
'ㅅ'받침이 'ㅌ'으로 변한 상황을 빠르게, 쉽게 알기를 재고(再考)해봅니다.
'ㅅ'받침은 첫소리로는 비벼주는 듯한 예사소리를 냅니다. 그런데 받침으
로 사용될 때는 갑자기 거센소리로 돌변합니다. 같은 자리인 혀끝소리
인 'ㅌ'으로 발음됩니다.
수많은 사물에 여러 가지 현상이나 상태나 모양을 나타내기 위해서 한글학
자들이 짜놓은 발음규칙입니다.
시각적'ㅅ'받침이 청각적으로는 'ㅌ'으로 변한 상태를 안 잊기 위해서 새로
운 대안으로 9×9=81 이라는 구구단공식처럼 생각하자고 가끔 생각을 끌어
내봅니다.
예사소리와 목구멍소리 만남은 거센소리규칙이 된다.
ㅅ×ㅎ=ㅌ 이란 규칙!!! 암기가 척척 떠오르게 되기를 훈련하는 과정이 있
어야함을 느낍니다.
ㅅ받침과 ㅎ의 이어진 낱말 종류를 떠올리면?
비슷해 뜻해 떳떳해 꼿꼿해 뚜렷해 따뜻해 짜릿해 빳빳해 애뜻해
발음은?<비스태 뜨태 떠떠태 꼬꼬태 뚜려태 따뜨태 짜리태 빠빠태 애뜨태
>
가끔은 혀끝에서 나는 소리들을 떠올려보는 것도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7가지. ㄴ ㄹ, ㄷ ㄸ ㅌ, ㅅ ㅆ
크게 3가지로 소리나는 자리를 나누면?
1.울림소리와 흐름소리) ㄴㄹ
2. 혼합된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ㄷ ㄸ ㅌ
3.섞인 예사소리와 된소리 두 개 )ㅅ ㅆ
여러 가지로 나눠보기도 하지만 3번째 ㅅ예사소리가 2번째 ㅌ거센소리로
변해서 발음되었기 때문에,
역시 전체적 자리인 혀끝소리는 역시 혀끝소리로 바뀐다는 생각을 하는 것
을 자주 떠올림이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