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대 피해 아동의 경우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다 세심하고 체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성학대 피해 아동에 대한 치료 지원 강화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아동 성학대는 총 206건. 하지만 피해 사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꺼려 신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성학대는 특히 우울증과 대인기피증 등 심각한 정신적 후유증을 남긴다는 점에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에 복지부는 성학대를 받은 아동의 후유증 치료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전담팀을 국립의료원과 국립서울병원에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또 병원 치료를 받은 피해 아동들이 보다 세심한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5월 중 서울지역에 치료 전용 그룹홈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아동 성학대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예방 교육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복지부는 아동성학대 가해자의 약81%가 부모인 점을 감안해 알콜 중독이나 정신질환 등이 있는 부모에 대한 치료도 병행할 방침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