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중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어서 양극화를 완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취업 취약 계층에 대해 재정을 통한 일자리 지원사업이 확대됩니다.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입니다.
기획예산처에 따르면 올해 일자리 지원사업의 인원은 작년보다 14% 늘어난 52만 7천명, 직접적인 일자리도 지난해보다 46.6% 증가해 22만 9천개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가운데 1년 이상 안정적인 일자리는 9만 5천개로 지난해에 비해 9.9% 증가합니다.
정부는 안정적인 일자리 확대를 위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과 함께 간병과 급식, 가사도우미 등 수익창출이 가능한 분야에 대해서는 민간기업과 매칭 펀드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3천9백여 명에게 제공됐던 사회적 일자리가 올해는 6,000명 규모로 대폭 확대됩니다.
민간차원의 일자리 지원사업도 병행 실시됩니다.
이를 통해 만여명의 이웃에게 도시락이 제공되고 620명에게는 일자리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업극복국민재단은 아울러 청년실업대책으로 청년실업자 네트워킹 센터를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공식 출범합니다.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끼리 정보공유와 교육, 그리고 기업과 연계해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 아이디어도 공모하기로 했습니다.
이같은 정부와 민간의 공동노력이 중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드는 데 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