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을 앞두고 정부가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지방물가를 잡기위한 종합대책을 세웠습니다.
공공요금과 개인서비스 요금을 중심으로 물가 상승률을 낮추겠다는 것입니다.
최고다 기자>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늘 조금씩 높은 상승률을 기록해온 지방물가 상승률.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올해 전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보다 다소 높은 3% 내외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고, 지방물가는 그보다 높은 3% 후반의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앙에 비해 열악한 제정상태에 놓인 지방자치단체가 지방공공요금을 올리거나 지방의 영세 사업자들이 요금을 자주 올리는 것이 주 원인입니다.
이에 따라 행정자치부는 시내버스요금과 택시요금 도시가스요금 등 주민들의 실생활에 직결되는 공공요금 10종과 개인서비스 요금 49종을 선정해 집중관하는 내용이 담긴 지방물가 안정 종합대책을 지자체에 통보했습니다.
지자체별 지방물가대책위원회와 물가대책상황실 설치운영하고 부당 요금인상 업소에 대한
단계별 지도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또 행자부는 지방물가 안정실적 평가를 상·하반기에 각각 실시해 우수 지자체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공공요금 등 지자체별 가격수준을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통해
지자체 끼리 서로 비교 가능하게 하고 이를 국민에게 공개하는 방안도 추진중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