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숙박업·음식점업의 표준 취업규칙(안) 제작

노동포커스

숙박업·음식점업의 표준 취업규칙(안) 제작

등록일 : 2008.03.06

지난 2005년부터 주 5일 근무제가 실시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음식점이나 숙박업소의 경우, 1년 내내 문을 여는 경우가 많아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숙박업과 음식점업을 대상으로 한 표준 취업 규칙안이 작성됐습니다.

신상호 기자>

지난 2004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된 주 5일 근무제.

근로자들의 여가 시간이 늘고, 자기 계발 시간을 많아지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올해 7월부터는 주 5일 근무제가 20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됩니다.

이에 따라 대다수 사업장에서 주 5일 근무제가 실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업종의 특성상 주 5일 근무제 실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특히 연중 휴일 없이 운영되는 숙박업, 음식점업의 경우에는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할 경우 예상되는 근로 공백을 메꿀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노동부는 지난 29일 숙박업 표준취업규칙안과 음식점업 표준취업규칙안을 작성해 배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작성된 업종별 취업규칙안은 주 5일 근로제를 실시하고 있는 숙박업소, 음식점의 취업 규칙을 검토해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이들 두 업종이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것을 감안해, 근로자의 근무일과 휴무일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월 근무편성표’가 작성돼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규칙안에 제시된 월 근무편성표 따를 경우, 사업장은 연중무휴로 가동되면서, 근로자는 주 5일 근무가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업종의 특성에 맞는 교대제 근로와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운영 형태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업종별 특성에 맞는 취업 규칙안이 배포됨에 따라 해당 업종의 사업주는 보다 쉽게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숙박업, 음식점업 표준취업규칙안의 전체 내용은 노동부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작성된 취업규칙안은 숙박업소나 음식점에서 주 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