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동안 가계의 소비지출이 50% 늘어나고, 스마트폰 보급과 고령화로 통신비와 보건비 지출도 늘었습니다.
이렇게 달라지는 소비생활 양식을 정부가 물가정책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현아 기자입니다.
최근 10년 간 가계 소비지출액은 연평균 4.2%씩 50.2%가 증가한 가운데, 물가 상승분을 뺀 실질 기준으로는 연평균 1%씩 증가했습니다.
식료품비는 연평균 3.1% 늘었지만, 물가가 5%나 급등하면서 실제 소비량은 오히려 1.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통신비와 보건비 지출이 늘었고, 기타상품과 서비스 지출 증가율도 전체 증가율을 웃돌았습니다.
정부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지난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8천700 가구가 가계부에 기입한 지출내역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박 장관은 서민들의 생활비 지출 증가 부담을 완화하려면, 가격과 사용량 증감 등 소비패턴 변화를 반영한 스마트한 물가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통계청의 소비자 품목별 지출구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등 식품류, 교육비 등에 대한 장단기 물가안정 대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박재완 장관/ 기획재정부
"실효성 있는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가격과 사용량 변화를 함께 감안한 물가정책 추진이 필요합니다."
또 통신요금에 대해선, 지난 10년 평균 2.1% 내렸지만 사용량이 늘어 가계지출은 3.9% 증가했다며, 가격 안정과 함께 적정한 소비를 유도할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공공기관 유류 공동구매 대상을 경질유에서 중질유로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조달청 계약 물량 의무수요기관도 공기업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TV 김현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