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윤석열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제주 앞바다에서 멸종위기종인 고래상어가 잇따라 같은 정치망 그물에 걸려 포획됐습니다.

국내에서 처음 산채로 잡힌 고래상어들은 얼마전 문을 연 제주해양과학관에 기증돼 전시되고 있습니다.

JIBS 강석창 기자입니다.

하귀리 앞바다에 쳐 놓은 정치망 그물 주변이 바빠졌습니다.

4미터 크기의 고래 상어를 옮기기 위해서입니다.

지난 7일 한치 잡기 그물에 이 고래 상어가 붙잡혔습니다.

다음날에는 같은 그물에 더 큰 고래 상어가 잡혔습니다.

임병태 / 고래상어 포획 어민

“대부분 어민들은 큰 고기가 잡히면 다 (위판장으로) 내보내는데, 안 보던 희귀어종이나 이런 게 있으면…제주에 그게(해양과학관) 생겼다고 해서 전화를 했습니다.”

제주해양과학관 내 아쿠아플라넷은 고래상어를 기증받고, 군사작전 처럼 운반에 나섰습니다.

임지언 / 아쿠아 플라넷 제주 과장

“눈짐작으로 만든 수송용 케이지가 있습니다. 그 케이지가 (고래상어)크기와 맞는지 얘기가 오가고 있습니다.”

눈짐작으로 보고 만든 (수송용) 상자가 있거든요. 그 상자가 (고래상어) 크기와 맞는지 논의하고 있어요.

특수 운반 장비와 40여명의 직원이 동원돼, 고래 상어 2마리를 무사히 수조로 옮기는데 성공했습니다.

지난 14일 개관한 아쿠아플라넷은 당초 중국에서 고래 상어를 구입해 올 예정이었습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어류라 마리당 가격이 10억원이나 됐습니다.

하지만 중국 어업청이 지난 4일 갑자기 고래상어 반출을 금지시켰습니다.

고래 상어 전시를 포기하려던 상황에 기적같은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고래 상어는 난류성 어종이고, 국내에서 포획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아쿠아플라넷은 제주에서 고래상어가 포획됨에 따라, 서식환경과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도 시작했습니다.

김우중 / 아쿠아플라넷 제주 홍보담당

“제주해양수산연구센터와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세계 최고 수준의 전담 아쿠아리스트와 어의사가 24시간 배치돼서 고래상어 연구와 보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수온 상승 영향으로 제주 바다에 나타나는 난류성 어류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JIBS 강석창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