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독도교육주간 첫 실시…다양한 전시 등 개최

KTV 830 (2016~2018년 제작)

독도교육주간 첫 실시…다양한 전시 등 개최

등록일 : 2016.04.15

앵커>
독도에 대한 일본의 의도적인 교과서 왜곡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도 올해부터 '독도교육주간'을 실시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섰는데요.
자세한 얘기, 취재기자와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이소희 기자, 어서 오세요.
기자>
안녕하세요.
앵커1>
네, 독도에 대한 일본의 왜곡된 주장, 얼마 전에 더 심각해졌죠. 교과서 논란이 있었는데요.
기자>이소희 기자
네, 지난 달 일본이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를 공개했는데요.
내년부터 사용할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77%에 '독도가 일본땅'이라는 기술이 실리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검정 심사를 통과한 고교 사회교과서 35종 가운데 27종에 '다케시마는 일본의 영토다''한국이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는 표현이 들어갔고요.
이는 2013학년도 교과서보다 한층 더 강화된 수준입니다.
앵커2>
그렇군요.
이렇게 교육에서부터 일본이 독도에 대한 억지주장을 관철시키고 있는데, 우리 정부도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죠?
기자>
네, 이번에 특별히 학생들의 독도 주권의식 강화를 위한 시간이 마련됐습니다.
제1회 독도교육주간이 이번주 1주일간 진행됐고요.
이 기간동안 초중고등학교에서는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배포한 자료 등으로 독도계기교육을 했고요, 과목과 연계해서 심층적인 독도교육이 실시되기도 했습니다.
독도교육 중인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싱크>
우리나라 역사에 독도가 처음 등장했던 시기가 언제라고 합니까?
싱크>512년.
역사 속에 살아있는 독도의 모습을 찾아보는 시간.
독도를 처음 발견하고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 영토로 처음 귀속시킨 이사부 장군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사부 장군이 섬을 정벌할 때 사용했던 사자상도 상상의 나래를 펴 그려보고, 직접 이사부 장군이 되어 현재 일본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발표해보기도 합니다.
싱크>
"일본군! 독도는 우리의 땅이오. 우리 땅에 넘어오려하지 마시오. 한 번 더 우긴다면 당장 전쟁을 선포하리."
독도에 대해 아이들의 관심을 높이고 애정을 갖도록 돕는 시간.
잘 알지 못했던 독도를 차근차근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됐습니다.
인터뷰>정가은/조치원대동초 6학년
"독도는 일본이 자기땅이라고 우기는 것이랑 돌섬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수업을 통해) 독도는 우리가 어떻게 지켜야하는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습니다."
수업을 들으며 스펀지같은 아이들은 독도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인터뷰>백서윤/조치원대동초 6학년
"독도에 있는 천연기념물 중에서 여러가지가 있잖아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더 알고 싶어요. 독도에 대해서 SNS에 많이 알리도록 노력을 하고, 독도에 관한 책을 많이 읽어서 관심갖도록 노력해야 돼요"
어린 학생들이 독도를 우리 땅이라고 인식은 하고 있지만, 독도에 대한 애정은 아직 부족한 상황인데요.
인터뷰>류기곤/조치원대동초 교사
"아이들이 다 알고 있기는해요.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걸. 그런데 왜 우리 땅이고, 진짜 우리 땅이라서 어떻게든 지켜야겠다는 마음을 가진 학생은 많지 않은 것 같아요"
한 주간 진행되는 독도교육이 끝난 뒤 2학기 때 또 독도교육을 진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인터뷰>류기곤/조치원대동초 6학년 3반 선생님
"앞으로도 교사들끼리 자발적으로 연구회 같은 조직을 통해서 독도연구를 해서 학생들에게 좀 더 좋은 질의 교육을 제공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기회가 된다면 독도에 찾아가서 교사들이 먼저 느껴보고 올 예정에 있습니다."
기자>
그리고 이번에 초중고 각 수준에 맞는 '독도 바로알기' 교재가 배부됐는데요.
눈높이에 맞는 교재가 마련됐기 때문에 앞으로 독도교육이 좀 더 진전될 전망입니다.
앵커3>
그렇군요. 학생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독도를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도록 전시회가 개최됐다고요.
기자>
네, 용산역과 동대구역 등 일부 KTX역에서 '찾아가는 독도전시회'가 개최됐는데요.

화면과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용산역 대합실에 마련된 독도전시회.
독도교육주간을 맞아 전국민이 독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기억할 수 있도록 마련됐습니다.
인터뷰>홍성근/동북아역사재단 소장
"역이라는 것은 일반 국민들이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곳입니다. 독도가 일반 국민들 속으로 들어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작은 전시회지만 독도가 왜 우리 땅인지 한 눈에 들어오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있습니다.
이제는 독도에 감정적인 접근보다 논리체계적인 접근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긴데요.
인터뷰>홍성근/동북아역사재단 소장
"단순히 독도는 우리 땅이다라는 것보다는 왜 우리 땅인가, 왜 일본의 주장이 잘못되었는가라는 것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그것들을 이야기할 수 있는 그런 기회가됐으면 좋겠습니다."
잘못 기술된 일본 교과서도 전시함으로써 현재의 심각성을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고요.
독도의 아름다움이 한껏 드러난 사진들도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지나가던 시민들도 머릿 속에 잊혀져가던 독도를 다시 한번 상기시킵니다.
인터뷰>김영현/서울시 노원구
"친구랑 여수 놀러가려고 왔는데 우연치않게 봤거든요. 다음에는 독도도 한 번 가봐야될 것 같아요. "
인터뷰>최정우/강원도 춘천시
"단순하게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여기서 보다보니까 이래서 왜 우리 땅이고, 너무 아름답더라고요 사진 보니까. 좀 더 많은 생각을하게 됐던 것 같습니다."
기자>
용산역과 동대구역 전시회는 이번 주말까지, 오송역 전시회는다음주 월요일부터 일주일간 진행됩니다.
역에서 지나칠 때 주목해서 보신다면 다시 한번 독도에 대한 마음을 새길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앵커4>
네, 독도교육주간, 앞으로 더 체계화돼서, 우리 국민들에게 독도에 대한 제대로된 교육이 이뤄졌으면 좋겠네요.
이소희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