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아침, 북한의 미사일 발사 속보에 놀란 분들 많으셨을 것 같습니다.
도널드 트럼프와 아베가 만나는 시점을 타겟으로 세계적 관심을 끌 심산인 듯 한데요.
자세한 내용 매봉통일연구소 남광규 소장과 얘기 나눠봅니다.
1.
김정은이 신년사를 통해 이미 언급한바 있죠.
더구나 김정은 생일과 미일 정상회담으로 애초 2월 내 북한 도발은 예견되었던 것 아닐까 싶은데요.
지금 시점에 미사일 도발을 강행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2.
북한은 이번 미사일을 '중장거리 전략 탄도탄 북극성 2형'이라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SLBM을 일컫는 거죠?
이번 미사일의 수준은 어느 정도라 보십니까?
2-1.
액체 연료가 아닌 고체연료 미사일이 기습에 유리하다고 하던데요.
고체 연료가 전술력이 더 뛰어나다고 볼 수 있나요?
3.
북한은 '회피기동'이 가능한 미사일 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요격회피기동이란 말은 '사드'를 겨냥한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4.
사드 배치를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사드 대응능력 점검과 함께 배치 시점도 앞당길 필요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5.
미-일 정상회담 중 도발로, 미국은 더욱 강경한 대북 정책을 취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데요.
심지어 선제타격론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대응 수위를 짐작해볼 수 있을까요?
6.
도널드 트럼프의 도발 가능성과 대북기조 조정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7.
중국의 입장은 더욱 곤란해진 듯 합니다.
사드 반대에 대한 명분도 약화되고, 중국의 북한에 대한 통제나 대응이 더 복잡해진 셈이죠?
8.
한-미-일 당국이 안보리에 긴급회의를 요청했습니다.
공동 성명을 발표할 가능성도 있구요.
안보리의 또 다른 제재안이 나올 가능성은 있을까요?
9.
정부는 '관계기관 합동 점검반'통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경제현안점검회의'를 수시로 개최해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국내외 금융시장 불안이나 리스크는 없을지요?
과거와 다른 양상도 배제할 수 없지 않나요?
10.
2월말 한미 합동 군사훈련이 실시되면 또 다시 도발할 가능성은 없을까요?
11.
가장 관건은 '김정은의 셈법'을 바꾸는 일인 듯 싶어요.
우리의 대응 전략에 필요한 부분은 무엇일까요?
MC>
거듭되는 도발로 미사일 발사에 대한 영향은 아직 미미한 듯 하지만, 주변국과 유엔 안보리 차원 대응책을 협의하며 늘 예의주시해야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매봉통일연구소 남광규 소장과 함께 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