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을 내놨습니다.
빈부와 지역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공평한 교육 기회 제공을 위한 교육 종합 대책에 대해 꼼꼼히 짚어봅니다.
교육부 박준성 기획담당관과 함께 합니다.
1.
사회 전체 양극화 현상은 갈수록 피부로 느껴질 만큼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교육복지 정책을 마련한 배경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텐데요.
2.
이번 정책계획에 앞서 ‘교육격차 인식’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가 있었죠.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3.
특히 교육 취약 계층, 이를테면 장애학생이나 다문화 탈북학생 등 이들의 교육 상황은 어떤가요?
4.
교육 종합계획 추진 세부 내용을 살펴보죠.
적정한 원비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가칭)공공형 사립유치원 도입이 추진된다구요?
5.
가장 큰 교육격차를 느끼는 부분은 사교육~일겁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개선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6.
저소득층 대학생들에게도 경감 혜택이 주어진다구요?
7.
장애 학생들이 이용하는 특수교육 기관의 교육 여건도 개선될까요?
8.
다문화나 탈북청소년 같은 경우는, 학력 수준과 언어 등에서 큰 차이가 있을텐데요.
이들을 위해선 맞춤형 지원이 이뤄져야할텐데요?
9.
갈수록 학생수가 급감하는 시골, 농·산·어촌 학생들에게도 이에 맞는 교육 여건 개선 내용도 있을까요?
10.
내실화를 통한 학습 결손을 예방할 계획도 세우셨는데요.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습부진에 관리와 지원 내용을 확대하신다구요?
11.
초중고 단계별 중점 학습 지원 강화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2.
교사의 역량이 곧 학생들의 학습수준이 되는데, 교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내용은 어떤 것들일까요?
13.
지역마다 환경적인 방해요인도 적지 않습니다.
찾아가는 서비스 등의 교육 기부도 활발해지네요?
14.
이번 종합대책의 향후 추진 내용 일정,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MC>
교육의 질이 곧 그 나라의 미래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죠 맞춤형 교육으로 우리 학생들의 교육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지금까지 교육부 박준성 기획담당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