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1년 주요 성과와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1년 주요 성과와 과제는?

등록일 : 2018.08.17

임보라MC>
정부의 핵심 복지정책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이른바 ‘문재인 케어’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는데요.
관련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스튜디오에 나와 계신 보건복지부 손영래 예비급여과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손영래 / 보건복지부 예비급여과장)

임보라 앵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이 마련된 배경과 특징은 무엇이었나요?

임보라 앵커>
전반적으로 이 대책의 주요 성과를 보인 과제들은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임보라 앵커>
1년 동안 ‘문재인 케어’가 어떻게 추진되고, 어떤 효과가 나타났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보라 앵커>
먼저, 특진비라고 일컫던 선택진료비가 올해 1월 폐지됐습니다.
그동안 환자가 선택한 의사에게 약 15에서 50%정도 비용을 환자가 부담해왔는데요.
환자들은 실질적으로 어떤 효과를 보게 되는 걸까요?

임보라 앵커>
일각에서는 선택진료비 폐지로 인해 상급종합병원의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임보라 앵커>
올해 4월, 간, 담낭, 비장 등에 해당하는 상복부 초음파가 건강보험에 적용됐는데요. 기존에는 적용 대상자가 한정적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험 적용에 기존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한데요.

임보라 앵커>
그렇다면 이로 인해 환자들의 부담이 많이 줄었을까요?

임보라 앵커>
하반기에는 하복부 초음파와 뇌·혈관 MRI 건강보험 적용도 확대된다고 하는데, 관련 내용 짚어주시죠.

임보라 앵커>
고막 절개, 보육기 등 36개의 의료행위와 치료 재료에 대한 제한 기준도 완화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것들이 급여화된 건지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바로 한 달 전인 7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2·3인실의 입원료에 대한 건강보험이 적용됐는데요. 어떤 식으로 의료비가 줄어들게 된 건지 예를 들어 설명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아무래도 의료비에 대한 부담은 취약계층에게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취약계층에 대해 어떤 지원 대책이 마련됐었는지, 가시적으로 성과가 보인 부분은 어떤 것일까요?

임보라 앵커>
특히, 노인과 부양가족에게 있어 치매에 대한 걱정과 부담이 컸을텐데요. 관련 대책,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임보라 앵커>
이 외에도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 대책들이 있었는데요. 근 1년의 시간동안 어떤 성과를 보였습니까?

임보라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1년 동안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대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지난 9일, 한 의료원에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1주년을 맞아 간담회를 개최했는데요.
현장의 목소리는 주로 어떤 의견들이 모아졌나요?

임보라 앵커>
마지막으로. 앞으로 ‘병원비 걱정 없는 나라’를 위해 남은 우리 정부의 과제와 목표가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손영래 예비급여과장과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