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뇌 MRI 등 적용 [정책인터뷰]

KTV 뉴스중심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뇌 MRI 등 적용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18.10.12

임소형 앵커>
이달부터 뇌와 뇌혈관 MRI 검사도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이 크게 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정책 인터뷰, 김세진 국민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출연: 손영래 / 보건복지부 예비급여과 과장)

◇김세진 국민 기자>
이달부터 MRI 검사 등에도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이 줄어들게 됐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0월 1일 발표한 새로운 후속조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건복지부 예비급여과 손영래 과장님이 자리에 함께 하셨습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지난해 8월부터 계속해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대한 후속조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왜 계속 이런 후속조치가 나오고 있고 또 어떤 내용인지 설명 좀 해주시죠.

◆손영래 과장>
지금 우리나라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이 꽤 높은 편입니다.
서구 선진국에 비해서는 한 20% 정도 의료비 부담이 커서 가계부담도 크고 경제적으로 의료비 관한 가정 파탄도 일어나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걸 억제하기 위해서 저희가 보장성 강화를 재추진하게 된 것입니다.
주로 특히 비보험 진료액이 워낙 크기 때문에 보험이 안 되고 있는 영역들을 계속 급여화를 시키고 있고 예를 들어 금년 1월에는 선택진료비 특징이라고 하는 것이 없어졌고요.
4월에는 상복부 초음파가 이제 보험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7월부터는 큰 병원들의 2인실·3인실을 보험 적용하는 등 이렇게 비보험 진료영역을 보험으로 옮겨서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계속 낮추고 있는 겁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그러면 이달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후속조치에 대해서는 어떤 변화가 있나요?

◆손영래 과장>
10월부터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더 이루어집니다.
크게 두 가지 정도인데요.
하나는 뇌와 뇌혈관 쪽의 MRI가 이제 보험이 다 적용됩니다.
두 번째로는 이제 태아를 낳았을 때. 아이를 낳을 때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나 난청 검사 같이 중요한 검사가 보험이 되지 않았던 것들이 이제 건강보험이 적용되게 됩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그러면 뇌·뇌혈관 MRI 특수 검사에 대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인데요.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 좀 해주시죠.

◆손영래 과장>
뇌·뇌혈관 MRI는 보통 뇌졸중이나 뇌암이 의심될 때 많이 찍으셨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찍어서 뇌암이 나와야지 건강보험이 되고 의심이 들어서 찍는 경우에 많은 경우가 나오지 않게 된다 그러면 보험이 되지 않아서 부담이 상당했습니다.
MRI는 꽤 가격부담이 커서 대형병원의 경우에는 한 70만 원-60만 원 정도를 본인이 내셨는데, 이제는 어떤 경우라도 필요해서 찍는 경우는 다 건강보험이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이번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실제로 의료비를 부담해야 하는 본인 부담금은 어느 정도로 낮춰지는 건가요?

◆손영래 과장>
지금 MRI는 보험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병원별로 상당히 천차만별입니다.
그렇지만 큰 대학병원의 경우에는 한 60-70만 원. 종합병원의 경우에는 한 50-60만 원 정도 내고 계셨는데요.
대학병원 기준으로는 한 18만 원 정도 그 다음에 종합병원 기준으로는 14만 원 정도만 부담하시면 됩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네, 상당히 줄어들었어요.
그런데 이 MRI 검사를 하는 환자들 대부분이 일회성으로 이 검사를 하고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연속으로 조금 보장이 되지 않는다면 더 부담스러울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요?

◆손영래 과장>
1년에 한 번만 적용을 받는 건 아니고 진단이 나오게 되면 거기에 따라서 그 질병에 따라서 1년에 세 번, 1년에 두 번같은 보험 기준들이 나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 양성종양의 경우에는 1년에 3회까지 보험이 된다는지 하는 식으로 보험 횟수가 나오는데요.
그 범위내에 검사를 하시게 되면 말씀드린 대로 그 정도 비용만 지불하시면 되고 그럴 일이 많지는 않겠지만 혹여나 그 범위를 벗어나서 좀 더 많이 찍게 될 경우에는 본인 부담금이 조금 올라가게 됩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또 다른 검사비 지원에 대해서인데요.
신생아 검사비 지원 어떤 내용인가요?

◆손영래 과장>
보통 아이들이 태어나면 두 가지 검사가 필수적으로 동반됩니다.
하나가 난청이 있는지 보는 난청선별 검사를 하시게 되고요.
그리고 대사이상이 혹시 있는지 없는지 여러 가지 대사상에 대한 검사들을 한꺼번에 하게 되십니다.
각각 한 10만 원씩 부담을 하셔서 보통 한 20만 원씩 내외의 부담들이 있었는데요.
이 두 검사가 다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난청 검사와 대사이상 검사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신생아 때는 저희가 본인 부담을 없애놨기 때문에 돈은 안 드십니다.
그냥 건강보험으로 검사를 적용을 받으시고 돈을 지불하지 않으셔도 보험 쪽에서 다 지불을 해드립니다.

◇김세진 국민기자>
MRI가 건강보험이 적용을 받는다는 게 굉장히 기쁜 소식인데요.
사실 부위도 여러 부위가 있잖아요.
앞으로는 이 건강보험 보장을 더 받을 수 있는 그런 대책이 또 나올까요?

◆손영래 과장>
지금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은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MRI나 초음파 같은 경우도 여러 부위 찍게 되는데 저희가 2021년까지는 보험을 다 확대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초음파의 경우에는 금년 하반기에 하복부와 신장 방광 같은 비뇨기 쪽이 MRI는 내년에 흉부와 복부 쪽이 보험적용이 될 거고 2021년까지는 모든 부위가 다 보험적용이 되게 될 겁니다.

◆손영래 과장>
그 외에도 중환자실과 응급실 쪽에 있는 각종 소모품들에 대한 비보험 진료라던지 아니면 중증환자 쪽의 비보험 진료들도 차근차근 저희가 다 건강보험으로 적용시켜 드릴 예정입니다.

◇김세진 국민 기자>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손영래 과장>
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