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무대에서 인생 2막···"장애인 시설 많아졌으면" [현장in]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무대에서 인생 2막···"장애인 시설 많아졌으면" [현장in]

등록일 : 2019.04.19

신경은 앵커>
오늘 '장애인의 날 기념식'에서는 다양한 재능이 있는 장애인들이 무대에 올랐습니다.
이렇게 예체능에서 두각을 보이는 장애인들이 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시설이나 지원은 부족한데요.
현장인에서 취재했습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박지선 기자 jsp900@korea.kr>
"인천에 마련된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입니다. 하루 이용객이 350여 명에 달할 정도로 장애인들의 이용이 활발한 곳인데요. 수영, 헬스 같은 생활체육부터 보치아처럼 장애인만 참가할 수 있는 종목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데요. 내부는 어떤 모습일지 들어가 보겠습니다."

뇌성마비 중증 장애인만 참가할 수 있는 올림픽 종목인 보치아.
다음 주 선발대회를 앞두고 선수들이 모여 연습에 한창입니다.
대관 신청만 하면 패럴림픽 출전 선수들도 쉽게 연습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필요한 장비는 무료로 대여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건우 / 베이징 패럴림픽 금메달리스트
"일상생활에서는 제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게 많이 없는데, 보치아 운동은 제가 생각한 대로 플레이할 수 있고 그런 게 좋아요. 좀 어려운데요 기분이 좋아요"

전문 종목뿐 아니라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이 함께 운동할 수 있는 생활체육시설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고3 때 교통사고로 장애를 얻은 장은지 씨는 이곳에서 처음 사격을 접하고, 스트레스가 날아갈 것 같은 사격 소리에 매료됐습니다.

인터뷰> 장은지 / 인천 연수구
"재밌어요, 진짜. 스릴감이 (있어요.) 일주일에 3번 정도 연습하고 있어요."

운동으로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장애인이 이처럼 체육 활동을 가까이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박지선 기자 jsp900@korea.kr>
"주기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장애인들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애인 전용시설이나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은 10%를 넘기지 못하고, 대부분 집 안이나 근처 공원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예술 활동도 제한적입니다.
고전무용을 전공한 정다연 씨는 현재 전공을 살린 무대를 선보이고 있지만, 과거에는 연습할 공간을 찾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정다연 / 서울 강서구
"영어 노래 'you raise me up'이라고 있는데 그 곡에 맞춰 춤을 춰요. 내가 춤추는 걸 다른 사람한테 보여줄 수 있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지금은 (장애인들을 위한 문화시설이) 많지 않아요. 앞으로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장애인 단체들은 기존 문화예술 시설에 장애인에 대한 배려만 이뤄져도 장애인의 문화향유권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종우 / 한국장애인국제예술단 홍보팀장
"1층에 위치해 있으면 장애인들이 와서 하고 그럴 텐데 거의 지하에 있거나 엘리베이터가 없거나 하는 곳이 많더라고요. 장애인들이 편하게 가서 연습도 하고 무용도 하고 뮤지컬도 할 수 있는 그런 공간들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앞으로는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예체능을 즐길 수 있도록 관련 시설과 지원이 확충됩니다.

녹취> 박양우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누구나 올 수 있어야 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어떻게 그렇게 하느냐는 것, 실질적으로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똑같이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굉장히 큰 숙제인 것 같습니다."

정부는 장애인 전용시설인 '반다비 체육공간'을 150곳까지 확충하는 한편, 서울시에서 시작하는 '어울림플라자' 등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문화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도 조성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정현정)
장애인의 문화향유권이 보다 확대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현장인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