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코로나19 중증응급환자를 책임지고 진료하는 중증응급진료센터가 운영됩니다.
응급실 감염 우려로 코로나19 환자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응급실을 찾았다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 해당 응급실은 폐쇄 조치됩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감염을 걱정한 응급실이 중증응급환자 수용을 꺼리게 되고, 결국 환자는 치료 적기를 놓칠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코로나19 중증 응급환자를 위한 전용진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운영하는 지역응급의료센터 가운데 시도별 2개 이상을 필수로 지정합니다.
격리병상과 보호자대기실, 응급환자 진료구역 등을 활용한 5병상 이상의 격리진료구역이 갖춰집니다.
특히 응급실에 진입하기 전 중증도와 감염 여부를 구분하는 사전환자분류소가 따로 설치됩니다.
이곳에서 기침, 발열 등 의심증상이 있는 중증환자는 격리진료구역에서 응급처치를 받고, 의심증상이 없으면 일반구역에서 진료가 제공됩니다.
의심증상이 있는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집중 진료를 위해 경증환자는 응급실 진입이 제한됩니다.
정부는 센터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건강보험의 의료수가를 추가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격리진료구역 설치비와 이동식 X-Ray 등 장비 구입비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센터에서 의료진이 안전하게 응급처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보호장구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중증응급진료센터 지정 현황을 반영한 적정 병원 이송체계도 마련했습니다.
녹취> 윤태호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역총괄반장
“코로나19의 감염 가능성과 중증도를 기준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이송기준도 마련하여 시행합니다. 코로나19 중증 응급진료센터로 지정되는 병원에게는 별도의 격리관리료 등 수가를 인정하여 적절한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한편 정부는 17개 시도에 신속하게 환자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한 환자관리반을 구축했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심동영 / 영상편집: 이승준)
고위험군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환자 분류체계가 잘 작동하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입니다.
KTV 임소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