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시세 90%까지 공시가격 상향···'6억 이하' 재산세 인하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시세 90%까지 공시가격 상향···'6억 이하' 재산세 인하

등록일 : 2020.11.03

김용민 앵커>
정부가 부동산 공시 가격을 단계적으로 현실화 하는 계획을 조금 전 발표 했습니다.
관련한 내용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리나 기자, 공시 가격의 현실화율을 몇 %까지 끌어올리느냐가 쟁점이었는데 정부가 어디까지, 얼마의 기간동안 올리기로 한거죠?

이리나 기자 rinami@korea.kr>
네 정부가 앞으로 10여 년에 걸쳐 시세의 90%까지 공시가격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평균적으로 따지면 연간 3%p씩 올라 갈 전망인데요.
이렇게 되면 공동주택은 5년~10년 단독주택은 7년에서 15년 토지는 약 8년에 걸쳐 목표치를 달성하게 됩니다.
먼저 현재 현실화율이 평균 69%인 공동주택의 경우 현실화율의 편차가 큰 9억 원 미만의 주택은 3년간 현실화율의 균형성을 제고한 뒤 연간 3%p씩 올려나갈 계획입니다.
또 시세 9억원 미만의 단독주택은 2023년까지 현실화율 55%를 목표로 균형성을 확보하고 2035년까지 90%를 달성할 방침입니다.
비교적 높은 균형성을 확보하고 있는 9억 원 이상의 고가 주택은 내년부터 연간 3%p씩 현실화가 이뤄지는데요.
시세가 9억에서 15억원 사이의 공동주택은 7년간, 15억원 이상은 5년에 걸쳐 목표에 도달하고, 같은 가격대의 단독주택은 9~15억원구간은 10년, 15억원 이상은 7년동안 현실화합니다.
토지는 현재 현실화율 65.5%에서 내년부터 8년에 걸쳐 90%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정부는 주택 유형별 현실화율 달성 폭의 형평성을 확보하고, 가격대 간 균형성을 조기에 확보해야하는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앞으로 연도별 공시가격은 직전 연도말 시세를 조사하고 연도별 현실화 목표치를 반영해 산정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산정시세에 대한 검증과 심사도 대폭 강화할 방침입니다.

김용민 앵커>
공시 가격 현실화 계획과 함께 정부가 1주택 보유자의 재산세 인하 기준을 공시 가격 6억 원 이하로 결정했죠?
이 내용도 전해주시죠.

이리나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부가 공시가격 6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재산세를 감면해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공시지가 6억원 이하 1주택자에 한해 구간별 재산세율이 0.05% 포인트씩 낮아집니다.
감면율은 최대 50%에서 최소 22.2%로 초과 누진과세 특성상 주택 가격이 높을수록 감면율은 낮아집니다.
정부는 이번 재산세 부담완화 방안을 통해 연간 4천785억원, 3년간 약 1조4천4백억원의 세제 지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이번 세율 인하는 내년 재산세 부과분부터 3년간 적용하되, 주택시장의 변동상황과 공시가격 현실화 효과 등을 고려해 추후 재검토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김명현 / 영상편집: 정현정)

지금까지 국토교통부에서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