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광주·울산·경남,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광주·울산·경남,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

등록일 : 2020.11.16

유용화 앵커>
정부는 오늘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규제자유특구 위원회를 열어 광주와 울산, 경남 등 3곳을 규제자유특구로 새롭게 지정했습니다.
이번 특구 지정은 한국판 뉴딜의 두 가지 핵심 축인 그린 분야와 디지털 분야를 중심으로 지정한 게 특징입니다.
자세한 내용, 문기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문기혁 기자>
한국판 뉴딜의 핵심 축인 그린·디지털 뉴딜 분야의 3개 특구가 규제자유특구로 새롭게 지정됐습니다.
먼저, 광주는 에너지저장장치 발전 특구로 운영됩니다.
현재 태양광은 개별 사업자만 전기를 생산해 공급할 수 있지만, 앞으로 광주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자도 전력을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개별 태양광에서 생산한 전력을 모아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전기차 충전사업자 등과 직접 거래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울산은 이산화탄소 자원화 특구로 지정됐습니다.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 폐기물소각장이나 하수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건설소재나 화학소재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경남은 5G를 활용한 차세대 스마트공장 특구로 거듭납니다.
특구사업자들이 통신설비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공장 안에서의 전파출력과 전력밀도 규제가 완화됩니다.
전파출력과 전력밀도 기준이 상향되면 데이터 도달거리가 늘어 같은 면적에 필요한 송·수신기 설치 개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자유특구로 운영 중인 세종은 자율주행 로봇서비스에서 추가 규제특례가 주어졌습니다.
자율주행 로봇의 공원 출입을 허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전성을 검증하게 됩니다.

녹취> 박영선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광주, 울산은 2050 탄소중립를 위한 그린 뉴딜형 특구, 경남·세종은 제조현장 및 도심의 스마트화를 위한 디지털 뉴딜형 특구로서 앞으로 지역혁신성장 등 지역균형뉴딜을 선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기부는 신규 지정된 3개 특구와 기존 1개 특구의 추가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실증 연구개발과 사업화 등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채영민 / 영상편집: 이승준)
또, 지정된 특구별로 전문가가 참여하는 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해 실증 전 과정의 안전성도 점검할 계획입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599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