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40대 이하 확진 93.7%는 미접종자"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40대 이하 확진 93.7%는 미접종자"

등록일 : 2021.08.27

박성욱 앵커>
오늘부터 접종 일정이 시작된 40대 이하 사전 예약자라면 백신 접종이 코로나19 감염을 얼마나 막아줄지 궁금하실 겁니다.
방역당국이 이들 청장년층 대상으로 예방접종 효과를 분석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지난 4월 초부터 이달 중순까지 코로나19에 감염된 18~49세 연령층을 조사한 결과, 확진자의 93.7%가 백신을 한 번도 맞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청장년층 확진자 대부분이 미접종자인 셈입니다.
정해진 횟수대로 접종완료 뒤 14일이 지나 확진 판정을 받은 돌파감염은 2.1%에 불과했습니다.
단, 접종 뒤 돌파감염이 발생했어도 증세가 중증으로 진행될 확률은 극히 낮았습니다.
접종완료자 가운데 중증환자는 40대 이하 확진자 3만5천여 명 중 단 한 명이었습니다.
반면, 백신을 맞지 않은 290여 명은 확진 뒤 중증으로 진행됐습니다.
사망예방효과는 더 컸습니다.

녹취>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40대 이하 확진자 조사결과) 미접종자 중 사망자는 8명인 반면 접종완료자 중에는 사망자가 없어서 중증과 사망의 예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모더나나 화이자 백신을 접종받은 뒤 젊은 연령층에서 드물게 심근염이 보고된 상황.
전문가들은 득과 실을 따져보면 심근염 위험보다 접종으로 얻는 이익이 크다며 접종 참여를 권고했습니다.

녹취> 김계훈 /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릴 때 심근염이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득과 실을 따졌을 때 그리고 mRNA 백신을 맞았을 때 발생빈도가 너무 낮다는 것, 예방효과는 크다는 것들을 다 따져본다면 당연히 젊은 연령에서도 백신을 맞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됩니다."

단, 과거 심근염과 심낭염을 앓은 뒤 완치되지 않았거나 mRNA 백신 1차 접종 뒤 관련 의심증상이 있다면 접종을 보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코로나19에 한 번 감염됐더라도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감염 뒤 면역력이 생겨도 시간이 지나면 재감염 위험이 커지는 데다, 백신으로 유도되는 면역반응 효과가 더 높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런 가운데, 추가로 백신을 맞히는 '부스터샷' 접종계획을 전문가들과 함께 세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르면 오는 4분기부터 부스터샷을 진행할 예정인데, 전 국민 기본 2회 접종과 소아·청소년·임신부 접종을 마치고도 대상자 추가 접종에 충분한 물량을 확보 중이라는 설명입니다.
(영상취재: 김명현 / 영상편집: 장현주)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