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설 연휴 보름 여 앞···정부 생활물가 안정 노력과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설 연휴 보름 여 앞···정부 생활물가 안정 노력과 과제는?

등록일 : 2022.01.13

최대환 앵커>
설 연휴를 보름여 남겨두고 장바구니 물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농축산물 물가 상승률은 8.7%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2.5%보다 3배 이상 높았는데요.
조류 인플루엔자와 기상여건 악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거리두기 등이 밥상물가 오름세를 견인해 온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대응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는데요, 정부는 지난주에 이어 내일 열릴 물가관계차관회의 중심으로 범부처 총력 대응체계를 구축해 소비자 체감 물가 인하에 나설 계획입니다.
설 명절 생활물가 안정 과제를 중심으로 여러 정책 현안을 살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오창석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오창석 / 시사평론가)

최대환 앵커>
우선 코로나19 확산세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현재까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및 추이는 어떤가요?

최대환 앵커>
이러한 가운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 및 조정 여부도 내일 확정될 예정입니다.
어떻게 전망해 볼 수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내일 있을 물가관계차관회의 주요 내용도 전망해 보겠습니다.
원래 금요일마다 정부는 혁신성장전략점검회의 겸 정책회의 겸 한국판 뉴딜 점검 회의 겸 물가관계 차관회의를 개최해오고 있는데요, 이번엔 물가관계 차관회의만 개최합니다.
그 배경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이어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굉장히 커지고 있는데요, 흐름이 어떤가요?

최대환 앵커>
정부는 앞서 지난 6일 '설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하면서 설 3주 전부터 16대 성수품의 공급을 평시의 1.3배로 확대하고 할당관세 적용 등 세제·금융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 관련해 기대효과와 과제는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다음주에 있을 문재인 대통령의 중동 3개국 순방 소식도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순방 대상국가와 주요 의제를 짚어주신다면요?

최대환 앵커>
이번 순방을 통해 변화하는 중동과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협력 기반을 구축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과제,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오창석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