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콘텐츠 융합 선두주자···K-웹툰 현황과 과제는? [강하다-K]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콘텐츠 융합 선두주자···K-웹툰 현황과 과제는? [강하다-K]

등록일 : 2022.02.04

최대환 앵커>
지난 1970년대, 만화는 사회에서 추방해야 할 해로운 콘텐츠라고 여겨지며 화형식까지 행해지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이렇게 천덕꾸러기로 치부되던 만화는 인터넷과 접목하여 웹툰 산업으로 화려하게 변신했는데요.
2013년 1,500억 원 규모였던 국내 웹툰 시장 매출액이 최근 1조 원을 달성하며 K-콘텐츠의 중요한 축으로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2014년 웹툰 '미생'이 드라마로 제작되어 큰 성공을 거둔 이래 드라마와 영화로 제작되는 경우가 늘어났는데요.
'신과 함께, 지옥, 스위트 홈'과 같이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많은 작품이 흥행 대작 반열에 올라섰습니다.
소설과 게임, 웹툰,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장르가 서로 섞이면서 발전하는 콘텐츠 융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웹툰은 영화와 드라마 장르에서 중요한 콘텐츠 자원의 보고가 되었습니다.
매주 금요일마다 진행되는 코너인 강하다-K에서는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문화와 산업, 정책을 짚어 볼 예정인데요.
오늘 그 첫 번째 순서로 K-웹툰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종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정광조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융합콘텐츠 스쿨 원장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정광조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융합콘텐츠 스쿨 원장)

최대환 앵커>
2021년 우리나라의 웹툰 산업이 사상 처음으로 매출액 규모로 1조 원을 돌파했는데요.
폭발적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우리나라 국내 내수 시장에서의 웹툰 산업 현황부터 짚어주시죠.

최대환 앵커>
최근 급성장하는 K-웹툰이 국내시장을 넘어서요.
만화 산업의 제국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일본과 미국 시장으로의 진출도 시도하고 있다고요?

최대환 앵커>
원장님께서는 지금은 월트 디즈니사로 합병된 픽사를 비롯해 블루스카이 스튜디오, 드림웍스 등의 제작사에서 애니메이터로 활동하신 경력이 있으신데요.
K-웹툰의 성공적인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해서 어떤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사실 융합 콘텐츠는 웹툰뿐만 아니라 이미 문화 전 부문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 DP와 지옥, 스위트 홈 등 전 세계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들이 웹툰을 원작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유독 웹툰이 2차 창작물의 소재로 활용되는 배경은 어디에 있다고 보시나요?

최대환 앵커>
성공적인 웹툰의 드라화를 위해서는 어떤 요건이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드라마 '유미의 세포들' 사례 설명)

최대환 앵커>
사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웹툰 산업이 호황을 보이지만, 사실 신인 웹툰 작가들이 플랫폼들과 불공정 계약을 맺는 문제라든지 웹툰의 불법 유통으로 인한 피해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산적해 있습니다.
이 부분도 한 번 짚어주시죠.

최대환 앵커>
오늘 말씀을 듣다 보니 융합 콘텐츠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는 우리의 웹툰 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K-웹툰 산업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마무리로 정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정광조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융합콘텐츠 스쿨 원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