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2024.6.4~6.5 윤석열 정부 출범 2주년 성과·과제 정책이슈 바로가기 2024 KTV 편성개방 국민영상제(제5회)
본문

KTV 국민방송

러, "핵전쟁 위험 실재" [글로벌뉴스]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러, "핵전쟁 위험 실재" [글로벌뉴스]

등록일 : 2022.04.26

김유나 앵커>
글로벌뉴스입니다.

1. 러, "핵전쟁 위험 실재"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현재 핵전쟁 위험이 실재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로이터, 스푸터니크, 인테르팍스 통신 등에 따르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러시아 국영방송 채널1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핵전쟁 위험은 실재하며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서방을 겨냥해, 러시아는 핵전쟁 위험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런 위험을 인위적으로 부풀리려는 세력이 많아 안타깝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세르게이 라브로프 / 러 외무장관
"5개 핵보유국이 핵전쟁을 용납할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그 원칙이 우리의 기본입장입니다. 우리는 그 원칙을 기준점으로 행동합니다. 우리는 핵전쟁 위험을 낮추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모든 것은 협정에 사인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협정의 내용은 군사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세르게이 라브로프 / 러 외무장관
"모든 것은 협정으로 끝날 것입니다. 하지만 협정의 내용은 그 협정서가 체결되는 순간 전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달려 있습니다."

그러면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협상에 진지하게 임하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

2. 머스크, 트위터 인수
테슬라의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인수 금액은 440억 달러, 우리 돈 약 55조 원이라고 합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테슬라의 최고경영자이자 미국의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확정했습니다.
그는 협상 직후 성명에서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기반이고, 트위터는 인류의 미래를 위해 중요한 문제들이 토론되는 광장"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트위터를 어느 때보다 훌륭하게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머스크의 인수로 영구 정지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도 살아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녹취> 리처드 그란데 / 뉴욕대학교 직원
"사람들에게 더 많은 언론의 자유를 줄 텐데, 아마 트럼프를 트위터로 다시 데려올 것 같아요."

한편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소식에 백악관은 브리핑을 통해 소셜 미디어 기업에 대한 우려와 책임의 중요성을 나타냈습니다.

녹취> 젠 사키 / 美 백악관 대변인
"누가 트위터를 소유하든 운영하든 간에, 대통령은 오랫동안 대형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힘, 즉 소셜 미디어가 우리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우려해 왔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트위터를 비상장회사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3. 4,200m상공 '비행기 바꿔 타기'
미국 애리조나 주 4200m 상공에서는 서로의 비행기를 바꿔 타는 아찔한 도전이 펼쳐졌습니다.
항공 스포츠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는 '레드불 에어포스'팀 소속 스카이다이버 두 명이 아주 특별한 도전에 나섰습니다.
4200m 상공에서 최대 시속 225km의 속도로 자유 낙하하며, 서로의 비행기에 바꿔 탑승하는 도전을 시도한 것인데요.
한 명의 선수는 비행기를 바꿔 타고 지상에 무사히 착륙했고, 또 다른 선수는 비행기가 통제 불능상태가 되면서 갈아타지 못했습니다.

녹취> 루크 아이킨스 / 스카이다이버
"우리는 그 도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어요. 제 말은, 경계를 밀어붙여 점프에 성공했다는 점을 아주 대단하다고 말하고 싶고, 또 다른 점은 우리가 제대로 착륙했다는 것입니다."

비행기를 갈아타지 못한 한 선수 역시 낙하산을 타고 지상에 안전하게 착륙했습니다.

녹취> 앤디 패링턴 / 스카이다이버
"우리는 둘 다 여기에 있어요. 둘 다 안전하고, 또 모두가 안전한데요,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미 연방항공청은 통제 불능상태가 된 비행기에 대한 원인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지금까지 글로벌뉴스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