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정부는 신도시 중 개선이 시급한 37곳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권혁중 / 경제평론가)
임보라 앵커>
신도시들에서 지속적으로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있어 정부에서는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을 마련했는데요.
광역교통 개선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임보라 앵커>
앞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광역교통 개선대책이 수립되고 나서도 교통 불편이 이어지고 있었는데요.
광역교통 개선대책이 수립되고 난 후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행되어 왔고 현재 상황은 어떤가요?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의 이행 상황을 바탕으로 광역교통 개선 추진방안을 준비하게 됐는데요.
단기와 중장기로 나누어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단기 보완대책 중, 37개 집중관리지구에 대한 광역교통 개선안은 어떻게 되나요?
임보라 앵커>
두 번째로는 일반관리지구입니다.
교통서비스현황 분석결과가 권역별로 중간 이상인 지구인데요.
이 지구들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어떤 개선대책들을 내놨나요?
임보라 앵커>
입주 시작이 1년 이상 남은 중장기 관리지구에 대해서는 또 다른 개선대책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개선대책 초기단계인 중장기 관리지구의 정책 추진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임보라 앵커>
단기적 광역교통 개선으로는 광역버스를 확충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했는데요.
단기대책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들은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보완을 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중장기적 광역교통 개선방안은 어떻게 되나요?
임보라 앵커>
현재 마련된 개선 추진방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보완대책도 함께 마련할 계획인데요.
지구별 TF팀 등 협의체를 마련해 추진체계를 새롭게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하죠?
임보라 앵커>
강원도 춘천과 속초를 연결하는 동서고속화철도 공사가 드디어 시작됐습니다.
서울에서 춘천까지 연결된 철로를 속초까지 연장하는 노선인데요.
완공되면 교통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임보라 앵커>
지난해 소상공인의 생활 안정을 위한 공제 제도인 ‘노란우산공제’의 폐업 공제금 지급액이 9천억원을 넘기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년 전보다 50% 가까이 늘어난 건데요.
자세한 내용 소개해주시죠.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함께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