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WB)이 고소득 국가로 도약하지 못하고 성장이 정체되는 '중진국 함정'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면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우리나라를 언급했습니다.
강민지 앵커>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세계은행이 발표한 세계개발보고서 주요 내용에 대해 조현정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조현정 / 시사평론가)
김용민 앵커>
세계은행에서 '2024년 세계개발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우선 이 보고서가 뭔지, 개요부터 짚어주시죠.
강민지 앵커>
세계은행은 많은 개발도상국이 중진국에 진입한 후 성장이 정체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극복의 대표 사례로 우리나라를 제시했습니다.
관련 내용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세계은행은 중진국 함정 극복을 위해 투자, 기술도입, 혁신 이 3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는 '3i 전략'을 제시했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강민지 앵커>
이 부분에서, 세계은행은 한국이 3 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급격하게 성장한 '성장 슈퍼스타(Super Star)'라고 소개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성공 비결 첫 번째, 해외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혁신을 유도한 정책에 있다고 봤는데요.
한국 경제의 성공 배경을 어떻게 본 건가요?
김용민 앵커>
또 한국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공공정책을 마련했다는 점도 성공 비결로 손꼽았습니다.
어떤 내용이 언급됐습니까?
강민지 앵커>
덧붙여, 한국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간 관계를 규제하는 데 있어 개선된 방식을 보였다는 점도 높이 평가했습니다.
어떤 노력들이 언급되었나요?
김용민 앵커>
위기가 기회가 되었다는 말들을 종종 하곤 하는데요.
우리나라가 1997년~98년도에 겪은 금융위기가 위기 극복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도 평가했죠?
강민지 앵커>
세계은행은 무엇보다 한국이 교육에 대한 투자를 강화한 것도 경제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보았습니다.
어떤 내용이 언급됐습니까?
김용민 앵커>
한편 세계은행은 이 보고서에 개도국의 정책에 대한 경고도 담았는데요, 어떤 언급이 있었나요?
강민지 앵커>
세계은행은 또 중진국 정부에 대한 정책 전략에 대해서도 조언했는데요.
앞서 언급한 3i 전략이 작동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까?
김용민 앵커>
그리고 생산성이 높은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필요성 어떻게 봐야 할까요?
강민지 앵커>
마지막으로, 최근의 기후변화가 한편으론 세계 시장을 선도할 기적 창출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어떤 맥락에서 이같은 이야기가 나왔을까요?
김용민 앵커>
권위 있는 국제기구가 한국의 성장 역사를 극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도국에 성장 전략을 제시한 점은 매우 고무적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우리 경제 정책 추진에 탄력을 받길 기대합니다.
지금까지 조현정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