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숨은 이야기까지 확대해 보여드립니다.
오늘 들여다볼 뉴스 키워드는 다문화국가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는 한 나라의 외국인 비중이 5%를 넘으면 다문화국가로 분류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외국인 비중은 4.8%로, 이제 다문화국가 진입이 머지않아 보이는데요.
숫자가 와닿지 않는다면 국내 외국인 수가 대구광역시 주민 수를 웃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외국인의 유입 흐름은 앞으로 국내 인구 유지와 노동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계청은 2042년 한국의 총인구를 4천963만 명으로 내다봤는데요.
저출산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총인구 변화가 예상만큼 크지 않은 건데, 외국인 유입이 늘어서 그렇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꾸준히 80%를 웃도는 반면, 내국인은 2022년 70%에서 2042년 55%까지 줄어듭니다.
바꿔 말하면 내국인 어린이와 노인을 부양하는데 내국인 청년만으로는 역부족이라는 거죠.
2022년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41.8명이던 내국인 총부양비는 2042년 81.8명으로 급등할 전망입니다.
이렇듯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모하는 반면, 우리 국민의 인식은 아직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 성인의 다문화수용성은 100점 만점에 52.27점에 그쳤는데요.
다행인 점은 미래 주역이 될 청소년의 수용성 점수는 성인보다 20점가량 높았고, 또 다문화수용성은 교육을 통해 개선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런 이유로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 정책을 펼친 독일은 사회 통합 수단으로 교육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사회 통합과 언어 교육을 집중 추진하는 중점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일부 학교에서는 터키어와 아랍어로 교육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저출산 추세에 파격적인 반전이 없다면 이제 우리도 외국인과 공존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요?
지금까지 뉴스 확대해보기, 현미경이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