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 관세 조치에 대응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품목 관세 부과가 예상되는 반도체와 의약품 등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석유화학과 철강의 경쟁력 강화에 나섭니다.
경제관계장관회의 소식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장소: 21일, 정부서울청사)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지난 6개월은 어느 때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컸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6개월간 14차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글로벌 산업 통상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직무대행은 이어 정부는 범부처 수출대책 수립과 첨단산업의 생태계 강화 정책을 만들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앞으로 산업통상 경쟁을 헤쳐나가는 데 큰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범석 /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새로운 산업·통상 지원체계가 빠르게 정착되고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라 지속 보완된다면 산업·통상경쟁을 헤쳐나가는데 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중심으로 관세 대응과 첨단·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우선,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가 예상되는 품목 대응을 강화합니다.
반도체·의약품 대응 방안을 신속히 마련하고, 철강과 알류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발표한 대책도 필요에 따라 추가 보완하기로 했습니다.
산업 경쟁력이 약화가 우려되는 석유화학과 철강 업종에 대해서는 선제적 사업 재편 등을 담은 업종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순차적으로 마련해 발표할 계획입니다.
특히, 석유화학은 업계 자율 컨설팅을 중심으로 사업재편 원칙·방향이 포함된 '사업재편 지원방안'을 마련합니다.
철강업에 대해서는 고부가, 저탄소 기술 개발 등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올해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국내 유턴 투자 보조금과 외국인투자 지원을 확대해 통상 위기 대응 유턴 기업 지원 대책도 마련할 방침입니다.
이외에도 지역 산업이나 고용 위기 확산 시 산업·고용위기 지역 지정 제도를 활용해 선제적인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