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방송·미디어 공공성 회복···미래지향적 생태계 구축한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방송·미디어 공공성 회복···미래지향적 생태계 구축한다

등록일 : 2025.08.29 09:58

차현주 앵커>
국정기획위원회는 '미디어 공공성'을 회복하고 '미래지향적 미디어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방송·콘텐츠 등 미디어 주요 분야와 맞물려 있는 K-콘텐츠의 확산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에도 힘을 쏟겠다고 하는데요.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미디어 정책에 대해,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 김경호 위원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김경호 /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 위원)

차현주 앵커>
먼저 '미래지향적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구축'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차현주 앵커>
국정위는 '미디어 공공성 회복'을 특별히 강조했는데요, 오늘날 미디어 공공성 회복이 특히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미디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 중 하나로 '미디어발전위원회' 설치 필요성이 제기됐는데요.
'미디어발전위원회'의 역할과 필요성은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미디어 규제 체계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또 개선해야 할 방향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차현주 앵커>
방송의 역할은 단순히 즐거움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넘어, 사회적 책무를 지닌 중요한 공공재이기도 한데요.
이에 맞춰 방송이 공적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단편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한 미디어'를 도모하겠다고 했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할 성장 기반은 어떻게 마련할 계획인가요?

차현주 앵커> 이용자 중심의 디지털·미디어 환경을 조성하신다고요?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정부가 다양한 분야의에서 AI 활용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미디어 분야에도 AI를 도입할 수 있을까요?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미디어와 긴밀히 연결된 K-콘텐츠를 육성하겠다고도 밝혔는데요.
K-콘텐츠 육성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차현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은 이 K-콘텐츠를 대한민국의 핵심 산업으로 만들겠다고 하며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이야기 했는데요.
내용 듣고 오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국제사회에 한국 콘텐츠의 영향력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K-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김경호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 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